•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무목왕졍튱녹>의 번역․제작과 그 의도 (Purpose of translation and production of in the late Chosun Dynasty)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3.09
22P 미리보기
조선 후기 &lt;무목왕졍튱녹&gt;의 번역․제작과 그 의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1권 / 3호 / 123 ~ 144페이지
    · 저자명 : 조지형

    초록

    본고는 중국 明代 熊大木이 지은 『大宋中興通俗演義』가 조선에 유입되어 英祖代에 <무목왕졍튱녹>이라는 국문소설로 번역․필사되어 제작된 경위를 탐색하면서, 『大宋中興通俗演義』가 국내에 수용될 수 있었던 배경, <무목왕정튱녹>의 제작 시기와 과정, 그리고 이를 주도했던 제작 주체의 의도 등을 살펴보았다.
    『大宋中興通俗演義』가 국내에 수입될 수 있었던 것은 여말선초부터 악비 관련 고사와 인물 형상이 지속적으로 수용․확산되어 이를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 있는 문학적 토양이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무목왕졍튱녹>을 국문으로 번역하여 제작하는 일에는 暎嬪李氏가 깊이 관여하였고 그 결과 ‘暎嬪房印’이라는 소장인이 찍힌 채로 낙선재로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이다. <무목왕졍튱녹>은 주인공 악비의 모습을 통해 ‘忠’의 이념을 강조하는 한편, <어졔제문>을 통해 일정부분 남편인 영조의 정치적 의도와 행보를 뒷받침하기 위한 책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무목왕졍튱녹>은 단순히 흥미 오락을 위한 궁중 여인들의 독서물에 그치는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critical mind that there is a need to prove that the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of China’s novels are not just for cultural obedience or entertainment. To that end,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f 『Daesongjungsongjungheungtongsokyeoneui(大宋中興通俗演義)』, a novel of Ming era and its translation and production into <Mumokwangjeongtyungnok>. And it also examined the background where 『Daesongjungsongjungheungtongsokyeoneui』 was accepted into Korea, production period and process of <Mumokwangjeongtyungnok>, and the intention of Yeongbin Lee who led the production. This may be just one of the cases, bu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a specific case where a Chinese novel of the later period of Joseon was translated and produced in Korea.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like the following.
    The reason that 『Daesongjungsongjungheungtongsokyeoneui』 was intro- duced into Korea was that from the end of Goryeo to the 18th century, foundation of literature was created for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is, because ancient history and figures related to ‘Akbi(岳飛)’ were consistently accepted and spread.
    In translating and producing <Mumokwangjeongtyungnok>, Yeongbin Lee was deeply involved, and practically supported the work by mobilizing human resources and money. Therefore, it was possible that the book of large volume was translated and produced in the hands of experts within a short period quickly. As a result, <Mumokwangjeongtyungnok> was able to be entered into Nakseonjae(樂善齋) with ‘暎嬪房印’stamped on it.
    <Mumokwangjeongtyungnok> emphasized the idea of ‘loyalty(忠)’ through the main character Akbi,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book was partly intended to support the political intention and behaviors of Yeongjo(英祖), the husband. This suggests that this book is more than just a book of entertainment for women in a pa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