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효의 무애행에 내재된 사회복지 가치 (The Value of Social Welfare in Wonhyo’s Unconstrained Conduc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0.09
31P 미리보기
원효의 무애행에 내재된 사회복지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3권 / 3호 / 117 ~ 147페이지
    · 저자명 : 윤기혁, 류강렬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원효의 무애행에 내재된 사회복지 가치를 파악하였다.
    원효의 궁극적인 관심은 중생의 깨달음 즉 중생구제에 있었다. 원효는중생의 삶 속 깊이 들어가 중생과 더불어 호흡하고, 그 깨달음을 온 세상에 구현하고자 솔선수범한 자비로운 보살이었다. 원효의 대표 사상은일심사상, 화쟁사상, 무애사상으로, 일심이 요익중생을 위한 관념적 실천논리라면, 무애는 행동(실천)논리이다. 무애는 불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세계로,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서 중생들을 풍요롭고 이익 되게 하는 귀일심원 요익중생(歸一心源 饒益衆生)의 또 다른 표현이다. 중생구제를 위한 원효의 무애사상은 어디에도 걸림이 없고 분별을 벗어난 자유의 상징이자, 자비 실천을 통해서 깨달음을 추구하는 보살의 실천행으로투영되었다. 그리고 무애사상은 이분론적 대립과 분열을 넘어선 자유의몸짓으로 중생들의 아픔을 자신의 고통으로 느끼며 다가선 자리이타의실천행이자 자비행 그 자체였다. 당시 신분제의 억압과 전쟁으로 피폐해진 백성의 고된 삶을 치유하고 정토로 안내하기 위한 원효의 무애행은현대사회의 사회복지실천 즉 복지행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원효의 중생구제와 불교대중화를 위한 무애사상은 모든 경계와 차별을 없앤 평등과 일원(一圓)의 걸림 없는 회통의 세계로 인간존엄성과 자유, 평등, 사회적 연대 등을 기본적인 가치로 하여 모든 사람들의 안락한 삶과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복지와 그 지향점을 같이하고 있다. 또한 원효 무애행의 대표적인 사례인 무애가, 요석공주와 설총, 사복의 설화 등에 사회복지 가치가 고스란히 녹아 있다. 원효의 일생은 중생구제를 위한 무애행의 삶이자, 복지행을 실천한 진정한 보살의 삶이었지만, 현대사회에서원효의 무애사상과 복지와 관련한 직접적인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애사상과 복지의 관련성에 관한 직접적인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물질의 기술이 무한 발전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원효의 무애사상과 복지행은 정신적 복지를 중시하는 동양의 사회복지 가치를 견지하는데 큰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grasped the value of social welfare in Wonhyo’s unconstrained conduct. Wonhyo’s ultimate concern was living beings’ enlightenment, that is, their relief. Wonhyo was merciful Bodhisattva who was deep in their life, lived together, and tried to realize enlightenment in the whole world.
    Wonhyo’s main ideas are one mind, reconciliation of dispute and harmony, and no hindrance. One mind is the logic of ideological practice for abundant benefit for all living beings and no hindrance is the logic of behaviors (practice). No hindrance is the world which is ultimately sought by Buddhism and another expression of bestow benefits to all beings by returning to our original pure nature(歸一心源 饒益衆生). Wonhyo’s unconstrained conduct for living beings’ relief is the symbol of freedom which is not hindered or obstructed from dong anything and escapes from discernment and practice conduct of Bodhisattva in search of enlightenment through mercy and practice. And unconstrained conduct is mercy and practice conduct and mercy of benefiting self and others simultaneously to feel living beings’ pain like his and approach them as a gesture of freedom beyond dichotomous conflict and split. Wonhyo’s unconstrained conduct to mend the people’s hard life of the people who were devastated due to the suppression of the status system and the wars and lead them to the pure land is practice of social welfare in modern society, that is, welfare conduct. And Wonhyo’s unconstrained conduct for relieving living beings and popularizing Buddhism is the same aim as social welfare to pursue everyone’s comfortable life and happiness by making the dignity of man, freedom, equality, social solidarity, etc. the basic value as the world of conciliation or harmony of diverse opinions which is not hindered or obstructed from equality and a unitary circle by removing all boundaries and discrimination. And Muaemu, Princess Yoseok and Seolchong, the Tale of Sabok, etc. which are Wonhyo’s unconstrained conduct reflect the value of social welfare. Wonhyo led a life of unconstrained conduct for living beings’ relief and true Bodhisattva who practiced welfare conduct, but there have been few direct studies related to his unconstrained conduct and welfare in moder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direct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unconstrained conduct and welfare. In addition, Wonhyo’s no hindrance idea and welfare conduct are thought to be very significant to hold on to the value of oriental welfare which regards mental welfare as important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material technology has infinitely develop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