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이데거의 무와 신회의 무념의 유사성 (The Similarity between Heidegger’s Nothingness and Shenhui’s No-though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9.08
30P 미리보기
하이데거의 무와 신회의 무념의 유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91호 / 175 ~ 204페이지
    · 저자명 : 김경의

    초록

    하이데거 철학과 선불교를 주제로 하는 연구들은 많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하이데거 철학과 선불교 사이에 유사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하이데거 철학과 선불교라는 큰 주제의 범위 안에서 하이데거 철학과 신회의 선사상이라는 보다 작은주제를 다루고자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하이데거와 선불교라는 주제를 좀 더 구체화시켜 나가고자 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하이데거의 무와 신회의 무념의유사성을 검토코자 한다. 하이데거 철학과 신회의 선사상을 비교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하이데거와 선불교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면 구체적으로 신회의 경우 그것이어떻게 드러날 수 있을지를 검토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선학의 역사에서 신회의 선사상은 남종선의 시작점이라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선에서 언급되는 돈오견성은 신회 선사상으로 소급된다.
    따라서 하이데거 철학과 선불교를심층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신회와의 연구가 필요하다. 대혜 종고 이후의 간화선은 수행 중심적인 간결성으로 인해 학문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요소가 부족하다.
    그러나 신회의 선사상은 돈황 문서의 발견 이후 학문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요소가풍부하다. 따라서 본고는 하이데거의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와 『사유의 사태로』 그리고 『신회어록』을 무와 무념을 중심으로 검토하여 무와 무념의 유사성을드러내고 차이를 논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하이데거 철학과 신회 선사상 사이의대화의 가능성을 모색코자 한다.

    영어초록

    There exist studies of various subjects comparing Heideggerian philosophy with Zen Buddhism. But what is striking is that they pay scant attention to Heze Shenhui (菏泽神會, Japanese: Kataku Jinne, 670-762) despite the prominent place he is taking in the history of Zen Buddhism.
    The doctrine of sudden awakening through seeing one’s original nature (⾒性成佛), one of the most frequently commented terms in the Zen Buddhist tradition, traces itself back to him. So it follows that without examining Shenhui, it’s hardly possible to properly carry out comparative theses on Heideggerian philosophy and Zen Buddhism. The koan meditation/introspection (看話禪) after Dahui Zonggao (⼤慧宗杲, Japanese: Daie Sōkō, 1089–1163) baffles scholarly access to itself due to its succinctness resulting from its emphasis on the practice of meditation. On the contrary, it can be said that Shenhui’s thought on Zen has comparatively much to examine, especially after the discovery of documents of Dunhuang. Shenhui’s thought on Zen, directly handed down from the sixth Patriarch, is the root of the Southern School.
    Both Heidegger and Shenhui define their philosophical and religious standpoints. In this writing, I tried to focus on the similarities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ultimate reality through the elucidation of Heidegger’s ‘Nothingness/das Nichts’ and Shenhui’s ‘No-thought’ (無念), based on What is Metaphysics?, On Time and Being and ‘The Analects of Shenhui’, in order to seek the possibility of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