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무속인의 삶과 무속-가족구성원으로서의 서울지역 여성무속인을 중심으로- (Female Shaman’s Life and Shamanism-Focusing on Female Shamans in Seoul-)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4.04
36P 미리보기
여성무속인의 삶과 무속-가족구성원으로서의 서울지역 여성무속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53호 / 377 ~ 412페이지
    · 저자명 : 변지선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여성무속인의 삶과 무속에 관한 연구이다. 여성무속인 중 서울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무속인을 주 대상으로 하였다. 여성무속인의 가족 내 지위와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그 변화원인을 고찰했다.
    전통적으로 가족 중 누군가가 무당이 되는 과정을 겪게 되면 가족들은 무당이 되는 과정에 있는 가족구성원을 박해하거나 축출했었다. 그러나 요사이에는 새로운 양상이 관찰된다. 여성무속인 가족 내에서 딸, 아내, 며느리, 어머니로서 새로운 위상을 정립하게 되는 과정이 이 연구의 주요관찰 대상이며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밝히고자 했다.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지역의 여성무속인을 대상으로 현장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여성무속인의 삶을 관찰했다. 또한 여성무속인의 삶에 대해 연구한 문헌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여성무속인의 가족 내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가계의 여성인 경우에는 무업입문에 대해 가족들이 받아들이는 과정을 겪는다. 어머니나 할머니가 무당인 경우에는 딸이 가족 내 무업전통을 이어받아 무업을 잇는 경우가 많다. 이때, 가족들은 딸과 함께 무업을 협업하게 된다.
    기혼녀가 무당이 되는 경우에는 이혼을 하거나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사례가 나타난다. 이혼을 하는 경우에는 가족 내에서 아내와 어머니의 지위를 잃는다. 이혼하지 않는 여성무속인의 경우는 다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일반인인 남편이 아내의 무업을 외면하거나 인정하는 경우이다. 남편이 아내의 무업을 인정하는 경우에는 아내를 일하는 아내로 보고 아내의 무업을 인정하거나 적극적으로 아내의 무업을 돕는 경우이다. 이때 여성무속인은 가족 내에서 아내와 어머니의 지위를 잃지 않으며 가사와 자녀교육은 외부인력을 고용하여 해결한다.
    며느리로서의 여성무속인은 대부분 무가계에서 나타난다. 시어머니가 무당인 경우에 무당인 미혼녀를 며느리로 삼는 경우가 많아서 가족 내에서 며느리는 무업의 전승자로 시어머니로부터 인정받으면서 무업과 며느리의 역할을 함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나는 이유를 경제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표면적인 계급이 사라지고 자본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여성무속인들은 자본의 축적을 통해 경제적 측면에서 상류층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자식을 명문학교에 진학시키거나 전문직을 갖게 하였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가족 내에서 전통적인 여성상에서 ‘일하는 어머니, 일하는 아내’로 변화하였다. 또한 무속에 대한 인식도 무형문화재 제도에 따라, 전통문화라는 측면이 강조되어 자녀들이 어머니의 무업을 ‘전통문화에 대한 직업’으로 인식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life and the shamanism of female shamans. The Study objects are female shamans’s life in Seoul. The positions and the roles of the female shamans in their family are observed, and the reasons of changes on their roles are analyzed. Traditionally, when one of family member becomes a shaman, she has been persecuted or expelled from her family. But recently, new cases are observed. This study object is process of female shamans get new status, ‘daughter’ and ‘wife’ and ‘daughter-in-law’ in her family. And find the reasons of changes. Study period is 2004 to 2014. Researching methods are fieldwork, interview. And review for books of female shaman’s life. That’s results are follows. Traditionally, if a woman become a shaman, her family persecutes or expels her. If she become a shaman in the shaman’s family, the family accepts her changes. That case, she inherits her family’s business. Her family works in cooperation with a new female shaman. If a married woman become a shaman, she is divorced from her husband or she lives with her husband. If a married woman is divorced from her husband, she lose her position of ‘mother’ and ‘wife’ in her family. If a married woman live with her husband, her husband disregards or accepts his wife’s changing. If her husband accept his wife’s changing, he helps his wife’s work. In this case, the female shaman doesn’t lose her position(‘mother’, ‘wife’) in her family. And she employs a nanny and a housekeeper.
    Another case is that a female shaman is a daughter-in-law. That case is the shaman family. If a woman is female shaman, she accepts a female shaman as her daughter-in-law. The daughter-in-law gains recognition to her new family (her marriage family). In that case, she works in the group of shamans. She has the position of ‘a daughter-in-law’ and ‘a female shaman’ simultaneously.
    Analysis shows the cause of the results as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s economical aspects, the social-class was disappeared and the importance of capital appears. And female shamans accumulates capital and they can move to economic high class. And they make that their children become a prestigious school student or get specialized job by their capital. As social and cultural aspects, female shaman’s position in her family changes the traditional image of woman to ‘working mother’ and ‘working wife’.
    And the social understanding for shamanism is improv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emphasizing the traditional cultural aspects by law. As a result, the female shaman’s children accept that their mother’s shamanism works are traditional cultural job.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