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도학 단상 3제 (3 Issues of Martial Arts Stud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1.06
10P 미리보기
무도학 단상 3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무도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무도학회지 / 13권 / 1호 / 41 ~ 50페이지
    · 저자명 : 김동규

    초록

    이 연구는 무도학이 독립된 학문의 한 영역으로 존립하고, 무도학의 발전에 초석이 되기 위한 전제조건은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도학은 ‘수행분과(혹은 무도분과)’와 ‘경기분과’로 구분해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는 두 영역간의 이질화를 도모하자는 것이 아니라, 수행과 경기로 이원화 된 연구를 바탕으로 각 영역을 전문화시킨 다음, 이의 통합연구를 시도하는 방식을 택하는 것이 무도학의 학문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입장이다. 수행분과의 연구는 무도의 본질적인 문제, 즉 ‘道’의 문제가 다루어지게 된다. 이는 무도, 무도학의 방향을 설정하는 연구로서 무도수행의 내재적 가치를 구현하는 철학적 접근이 될 것이다. 반면 경기분과의 연구는 무도의 현상적인 문제, 즉 ‘技’의 문제가 다루어지게 된다. 이는 경기화된 무도에서의 경기력 증진과 健身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과학적인 방법들이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둘째, 수행과 경기(겨루기) 영역이 소통하여 공존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수행과 경기의 소통 주체로서 형(形)의 역할과 과제를 탐색하여야 한다. 셋째, 무도 혹은 무도학의 발전을 위하여 거버넌스의 이념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중앙기관에서의 수직적이며 집중적 형태인 ‘통치’의 개념에서 벗어나 수평적인 관계, 분산형태로서의 접근이 무도계에도 요구되며, 무도학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에 이론적 기반을 확립하는 선도적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무도의 철학적 기반을 확보하고, 과학적인 훈련방식을 개발하는 것 못지않게 무도학은 구성원의 선진의식 고취 및 행정시스템의 선진화라고 하는 과제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할 의무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discussed what the prerequisites are for which the martial arts study can be established as one sphere of independent learning, and become a cornerstone in development of martial arts study. The conclusions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martial art needs to be approach by being divided into ‘cultivation(修行) division(or martial arts division)’ and ‘competition division.’ The purpose is not to promote heterogeneity between two spheres, but is rather the position as saying that taking a method of attempting the inclusive research on this after specializing each sphere based on a research with duality in cultivation and competition, can increase the academic level of martial arts study. A research on the cultivation division comes to be addressed an essential problem, namely, a problem of Tao(way, 道).’ As this is a research of establishing direction in martial arts and martial arts study, it will be a philosophical approach that implements immanent value in performing martial arts.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the competition division comes to be addressed a phenomenal problem in martial arts, namely, a problem of skill(技).’ As for this, scientific methods will be the research task as a means for promoting athletic performance and health for body(健身) in the competed martial arts diecond, there is necessity for seeking an alternative plan that spheres of cultivation and competition(matching) can communicate and coexist, and for exploring a role and task in martial form(形) as the main subject of communication in cultivation and competition. Third, a concept of governance needs to be introduced for development in martial arts and martial arts study. The martial arts circle is demanded the approach i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and the decentralized form, with escaping from a concept of 'rule,' which is the vertical and concentrated form in the central agency. The martial arts study will need to play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theoretical foundation in solving this problem. No less than securing philosophical foundation in martial arts and developing scientific training methods, the martial arts study has a duty of needing to perform a leading role in a task called the encouragement in members' advanced consciousness and the enhancement in administrativ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무도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