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삼국~한성백제기 중부지방 옹관묘의 조영 양상과 변천- 분묘군 내에서의 조영 양상을 중심으로 - (The Construction Method and Development of Jar-coffin Burials from the Central Region Dating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Hanseong Baekje Period -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Jar-co)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3.11
48P 미리보기
원삼국~한성백제기 중부지방 옹관묘의 조영 양상과 변천- 분묘군 내에서의 조영 양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18호 / 25 ~ 72페이지
    · 저자명 : 박천택

    초록

    이 글은 중부지방에서 확인된 원삼국시대와 한성백제기의 분묘 유적에서 옹관묘가 조영되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옹관묘는 관련 묘제를 고려하여 서해안권(Ⅰ), 아산만 동부권(Ⅱ). 경기남부권(Ⅲ), 한강중류권(Ⅳ), 남한강권(Ⅴ)의 5개 지역권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옹관묘는 분묘군과의 상관관계에 따라 다음의 5가지 유형으로 설정된다. 즉 분묘군과 관련없이 독립적으로 조영된 것(1유형), 분묘군 내부에 조영된 것(2유형), 개별 무덤과의 관련성을 지니면서 가장자리에 위치한 것(3유형), 개별 무덤 가까이에 조영된 것(4유형), 개별 무덤 묘광 안에 들어온 것(5유형)이다. 또한 옹관의 형식은 주옹으로 사용된 토기 형식(기종)을 기준으로 다음의 4가지 형식으로 분류된다. 즉 연질대옹(A형식), 중도식무문토기(B형식), 장란형토기(C형식), 경질중형호(D형식)의 4가지이다.
    옹관묘의 시기와 지역에 따른 조영 양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원삼국시대에는(1·2단계) 분묘군 내에서 개별 무덤과의 관련성을 지니면서 조영되기 시작하고, 이후 한성백제기에는(3~5단계) 개별 무덤 안으로 이동하여 양상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옹관묘는 서해안권(Ⅰ지역)이나 아산만동부권(Ⅱ지역)에서 초기 유적들이 집중되어 있다. 이는 옹관묘가 아산만 주변에서 경기 내륙지역으로 파급된 것을 보여준다. 중도식토기문화 중심권(Ⅳ·Ⅴ지역)에서는 원삼국시대까지 옹관묘가 조영되지 않았으나 한성백제기의 이후부터 옹관묘가 확인되고 있다. 이는 백제문화가 주변으로 파급되는 것과 관련된다.
    결국 옹관묘와 관련 분묘의 상관성이 높아지는 양상은 옹관묘의 피장자가 조영집단의 구성원으로서의 지위가 강화되는 정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onsider how the Jar-coffin burials of the Proto-Three Kingdoms to Hanseong Baekje period foun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constructed. An examination of the jar-coffin burials in association with the related burial tradition illustrates that the five regional zones can be established for the tombs: the west coast zone (Ⅰ), the east Asan Bay zone (Ⅱ), the south Gyeonggi zone (Ⅲ), the Han River midstream zone (Ⅳ), and the Namhan River zone (Ⅴ).
    The jar-coffin burials can be divided into 5 different assemblage styles according to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burial types within the burial ground: independently constructed jar-coffin burials not associated with any burial ground (Style 1), jar-coffin burials located within a burial ground (Style 2), jar-coffin burials associated with other burials and found at a peripheral position (Style 3), jar-coffin burials found near other burials (Style 4), jar-coffin burials found within their own pits (Style 5). According to the type of jar used as the coffin, the jar-coffin burials can be divided into 4 types: large soft earthenware jars (Type A), jungdo type plain pottery jars (Type B), long bodied jars (Type C), and middle-sized stoneware jars (Type D).
    The construction trend of jar-coffin burials can be summarized by period and area.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Phase 1-2), they were gradually constructed in relation to other burials. Later in the Hanseong Baekje period (Phase 3-5), they came to buried in their own pit graves. Jar-coffin burials are seen to have spread to the Gyeonggi inland region from the east Asan Bay zone since many of the early sites are intensively distributed in the west coast zone (Ⅰ) or the the east Asan Bay zone (Ⅱ). In the central sphere of the Jungdo type Pottery Culture (Ⅳ, Ⅴ), jar-coffin burials were not used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only making an appearance from the Hanseong Baekje Period. This adopting of the jar-coffin burial is thought to be connected to extension of Baekje culture.
    The increase in the correlation between jar-coffin burials and other types of burials can be seen to reflect an increase in the social status of the deceased that was buried within the jar-coffin bu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야외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