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범찬(梵讚) 쇼묘 연구 -고야산 진언종 사지찬(四智讚)을 통하여- (A study on Sanskrit Chants in Japanese Shomyo -Through the Sichibongo of Goyasan Singonshu-)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2.12
24P 미리보기
일본의 범찬(梵讚) 쇼묘 연구 -고야산 진언종 사지찬(四智讚)을 통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72권 / 145 ~ 168페이지
    · 저자명 : 윤소희

    초록

    일본 쇼묘는 범찬․한찬․화찬(민요조)의 세 가지가 있고, 범찬에는 진언․다라니와 더불어 전찬(前讚)으로 불리는 협의의 범찬이 있다. 진언과 다라니는 만뜨라찬팅이라 할 수 있지만 범찬은 동일한 제목의 한찬과 뜻과 형식이 일치한다. 고야산 곤고부지 의례와 고야산 대학의 쇼묘 강의 자료를 통하여 전찬의 사지범찬(四智梵讚)과 후찬의 사지한찬(四智漢讚)을 채보․분석해 보니 범찬은 한찬 문형에 맞추어 동일한 자수(字數)로 짓다보니 글자가 늘어나서 한어찬 보다 1구가 많았다.
    음악적으로 범찬은 시작음과 종지음이 동일하고, 주로 시작음인 라(D)에서 음을 늘이며 잣는 창법을 구사하였다. 이에 비해서 한찬은 범찬 보다 4도 위에서 시작하여 선율 움직임의 폭이 크고, 다양한 선율과 시김새를 구사하다가 종지음은 전찬인 범찬과 동일한 음으로 마쳤다. 범찬이 한찬보다 10자가 많지만 한찬이 모음을 좀더 늘여 지으므로 두 곡의 소요시간은 거의 비슷했다. 또한 종지음과 종지형도 같아서 두 악곡은 한 쌍을 이루었다.
    범어범패 중 진언과 다라니는 범음 자체에 초점이 맞추어진 만뜨라 찬팅인데 비해 범찬은 의례의 핵심 경전을 송(誦)하기 전에 하는 범문 찬탄이므로 전찬이라 하고, 송경이 끝나면 한문 후찬을 하는 점에서 용도의 차이가 있다. 범찬은 한찬과 쌍을 이룬데다 범자를 한자 문형과 맞추어 7언 절구 형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범찬은 중국이나 한국에는 없는 일본의 독특한 범어범패 장르이다. 범찬이 태밀(台密)의 천태종 보다 순밀(順密)의 진언종에서 더 많이 불리는 이유는 범어쇼묘가 밀교행법과 관련이 깊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Japanese Shomyo are sung in three languages: Bonsan(梵讚 Sanskrit)․Kansan(漢讚 Chinese)․Woasan(和讚 Japanese). Additionally, Bonsan has three types: Singon(眞言)․Dharani(陀羅尼)․Zensan(前讚). In this paper, I transcribed and analyzed Sichibongo(四智梵語), which is sung as a Prelude Song, and Sichikango(四智漢語), which is sung as an after song, through the Koyasan Kongobuji ritual and the sound source of the Shomyo lecture at Koyasan College. Sichibongo had one more lyric verse than Sichikango, because they tried to match Sanskrit sound words to the Chinese word’s number.
    Musically, Sichibongo has the same starting and end notes. It principally uses the vibrato method through increasing the starting note (D). On the other hand, Sichikango starts at 4 intervals higher than Sichibongo, and has a wide range of melodic movements. It also uses more diverse melodies and expressions, then ends on the same note as Sichibongo. Although Sichibongo has 10 letters more than Sichikango, Sichikango has more vowels, so the two songs take almost the same length of time. Also, the end tones and cadence are the same, so they have the musical consistency of two pieces.
    Among Sanskrit lyric song, Shingon, in the main, conveys the meaning of a magical wish(呪願), whereas Dharani is admirational and doctrinal. Zensan Sichibongo and Dharani are the same kind of song in Sanskrit. However, while Dharani is a mantra, Sishibongo is a hymn song, like Kansan. Zensan Bonsan is unique in that it is paired with the Kansan’s verses by matching the embroideries with the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is research, I learned two key points. The first is that Kukai brought the Tang dynasty Jigoang(智廣) 『Xitan Characters(悉曇字記)』 to Japan; Tendaishu’s monk Annen studied it and made the Rits(律) and Lyo(呂) scales based on the Sanskrit tone, establishing the musical theory; and it was Bonsan that blossomed such Sanskrit literature as a Shomyo. The second is that the reason Bonsan is seen more in Shingonshu than Tendaishu is because the Sanskrit lyric’s sounds are related to the secret methods of Esoteric rites and ri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