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남지방 목곽묘 부장 양이부난형호의 출현과 사회적 의미 (Appearance and social meaning of Egg shaped jar with two lugs buried in the Wooden chamber Tomb of the Yeongnam Provin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0.01
30P 미리보기
영남지방 목곽묘 부장 양이부난형호의 출현과 사회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고고학 / 86호 / 69 ~ 98페이지
    · 저자명 : 이원태

    초록

    이 글은 영남지방 목곽묘 부장 양이부난형호의 출현과 사회적 의미에 주목하여 접근하였다. 그 결과 양이부난형호는 현재 자료에 의하면 경주와 울산지역에 집중되어 경주권역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양이부난형호의 편년은 기존의 연구 성과에 적용하면 기원 3세기 중엽에 출현하여 기원 4세기 전엽까지 존속한다.
    양이부난형호의 지역별 출현양상은 기원 3세기 중엽에 경주와 포항, 대구지역에서 처음 출현하는데, 특히 경주지역은 기원 4세기 전엽까지 연속하고 출토량도 가장 많아 그 중심에 있다. 울산지역은 기원 3세기 후엽에 출현하여 4세기 초까지 확인되고 출토량도 경주 다음이다. 반면에 포항, 대구지역은 양이부난형호의 부장이 제한적으로 확인되어 대조적이다.
    양이부난형호와 경주식 목곽묘의 출현을 결부시켜 사회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즉 사로국의 각 읍락은 대개 단일한 세력이 아니라 복수의 세력들로 구성되어 있어 하나의 정치체로 이끌어 내기 위해 사회결속은 반드시 필요로 했을 것인데, 이를 위해 사로의 선택은 의례에 초점을 두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결국 의례에는 사회질서를 정당화하거나 정치적 계기들이 들어 있고 또한 혁신과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복수의 세력들간 사회결속은 분쟁보다 의례를 통한 사회질서를 정당화한 합의로 이끌어 내는 것이 더 합리적이고 경제적이다.
    특히 고고학적 현상으로 볼 때 기원 3세기 중엽에 출현하는 양이부난형호, 난형단경호, 신선로형토기와 경주식 목곽묘 등은 혁신과 변화의 중심에 있어 이를 방증한다.
    또 양이부난형호, 난형단경호, 신선로형토기와 경주식 목곽묘의 분포 범위는 사로국과의 관련성에 접근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해석하였다.

    영어초록

    This writing paid attention and made an approach to appearance and social meaning of Egg shaped jar with two lugs buried in the wooden chamber tomb of Yeongnam Province.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data, the egg shaped jar was intensively excavated in the Gyeongju and Ulsan area and became prevalent around the Gyeongju area.
    If chronology of the egg shaped jar is applied to existing research results, it appears in the mid-3rd century AD and continues until the early 4th century.
    With respect to appearance of the egg shaped jar in each area, it first appeared in Gyeongju and Daegu area in the middle of 3rd century AD and especially, Gyeongju area continued its appearance until the early 4th century AD and has the largest amount of excavated artifacts. Gyeongju is the center of the appearance. And, it appeared in the Ulsan area in the late 3rd century AD and was existed until the early 4th century with second largest amount of excavated artifacts. On the other hand, it contrasts that burial of the egg shaped jar was confirmed with a very small quantity in the pohang, Daegu area.
    The social meanings according to appearance of the egg shaped jar and Gyeongju wooden chamber tomb are interpreted as follows. In other words, each of the towns of Saroguk was usually composed of plural powers rather than a single power and therefore, social unity was absolutely necessary to build them into a political system.
    Because of the political situation, it seems that Saroguk focused on rituals.
    Because the rituals eventually justify social hierarchy or contain political momentum and also mean innovation and change, the combination of powers through religious ritual rather than forced merger is more reasonable and economical to lead social hierarchy to a fair agreement.
    Especially archeological phenomenon, it’s appeared in the center of innovation and change in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AD those’re Egg shaped jar with two lugs, Egg shaped jar with short neck, Chafing dish shaped earthenware, and Gyeongju wooden chamber tomb.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range of Egg shaped jar with two lugs, Egg shaped jar with short neck, and Chafing dish shaped earthenware as well as Gyeongju wooden chamber tomb was interpreted as the data that can access to the relation with the Sarogu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