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랑과 죄』의 여성 인물 주체 형성 과정과 인물묘사방법 (A Study on the female subject formation process and the characterization shown in Love and Sin - Comparing with Gwangbun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5.08
28P 미리보기
『사랑과 죄』의 여성 인물 주체 형성 과정과 인물묘사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47호 / 83 ~ 110페이지
    · 저자명 : 조미숙

    초록

    이 글은 염상섭 소설 『사랑과 죄』에 나타난 인물묘사방법을 통해 여성인물들의 타자화를 통한 주체 구성 양상을 『광분』과의 연속성 안에서 알아보는 것이다. 『사랑과 죄』의 지순영은 환경의 객관화, 무자각, 신념의 포기, 무지, 소극성, 이기적 자기애 등을 극복하며 바람직한 주체를 구성해 나갔다. 반면 정마리아와 『광분』의 숙정, 경옥 등은 허영과 자기만이 옳다는 독선을 비체화하지 못하고 이기적 자기애 안에 머물렀다. 여성 인물들 모두가 비슷한 불우환경에서 자랐으나 말로가 판이하게 달라진다는 것에서 비체화 양상에 따라 매우 다른 방식의 주체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작가의 인물묘사방법을 통하여 잘 드러나게 된다. 바라보는 주체는 작가의 동일시가 겹쳐져 종종 작가의 이야기하기, 직접묘사방식을 통하여 묘사하고 있고 보여지는 존재로서의 인물들, 작가가 동일시하기 어려운 인물들은 간접묘사와 작가의 비아냥거리기 방식으로 그려짐을 알 수 있다.
    비슷한 시기에 쓰인 『사랑과 죄』, 『광분』의 등장인물들의 주체 형성 과정에는 여러 차이점이 있다. 우선 주체 비중이 약화된다. 염상섭은 『사랑과 죄』에서 선명한 주동인물을 설정하고 반동인물과의 갈등을 해결하여 나가는 구조를 사용했다. 『광분』에는 『진주는 주었으나』 이후 여러 작품에서 반복하여 보이는 이른바 ‘모색하는 지식인’의 면모를 보이는, 작가의 분신 같은 남성 인물이 없다. 다음으로, 타자가 강화된다. 결국 『사랑과 죄』에서 『광분』에 이르는 과정은 염상섭 인물의 주체 의식 변화, 특히 여성 주체 형성 모색 과정으로 요약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Othernization and Subjectivity Inherent Women character through the characterization of which are shown in Love and Sin, Gwangbun of Yeom Sang-seop’s novels. JiSoonYoung went to Othernization and configure the desired subject the objectification of the environment, no self-awareness, the abandonment of faith, ignorance, passivity, selfish and narcissistic. Whereas Jung Mary, Sook-Jung, Kyung-Ok etc. vanity and self-correct, but does not Othernization and stayed in a selfish narcissistic. Every female figures grew up in similar difficult circumstances. But their conclusion is very different.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the subject of a very different manner formed according to Othernization aspect. These are good through portraiture reveals how the artist. Subject seeing things is a character that identifies by the artist. Therefore, the artist depicted them to telling, through the direct characterization. This figure is shown as present, whereas they did not identify the author. Writers have portrayed them as indirect characterization and sarcast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