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북한지역 지석묘 연구 검토 -형식 및 편년을 중심으로- (A Review of the Study on Dolmens in the Northwestern Korea Typology and Chronolog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5.12
35P 미리보기
서북한지역 지석묘 연구 검토 -형식 및 편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14권 / 3호 / 109 ~ 143페이지
    · 저자명 : 황재훈

    초록

    해방 이후~50년대 북한선사고고학은 국가 주도 아래 빠르게 정립되어 갔다. 그러나 60년대 후반 주체사상 체계의 확립은 학문적 논의를 제한하며 장기간 정체 국면에 접어드는 결정적 계기가 된다. 80년대의고조선 연구와 90년대 들어 대두된 대동강문화론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의해 학문 활동이 제약되는 북한고고학계의 실상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본고의 목적은 북한선사고고학의 패러다임과 접근 방법론 및 편년 논리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북한의 사회정치적 상황이 선사고고학 연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기별 지석묘 연구시각과 방법론의 변화에 주안점을 두고 학사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학사의 검토와 함께 지석묘 조사・연구 자료를 종합하여 서북한지역 지석묘의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묘역시설의 형태와 구조, 매장주체부 위치와 형식의 변화상이 관찰되는데군집 내 분포, 형식, 출토유물 양상에 기초하여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한다. Ⅰ기 지석묘는 넓고 두터운 묘역부가 시설되며 동일 묘역 내 복수의 매장주체부가 조성된다. 부장품은 단면 렌즈형의 유경식검과 유엽형촉, 이단경촉과 같은 무기류가 주를 이룬다. Ⅱ기에 접어들면 집단 묘역에서 개별 묘역으로 변화하며, 묘역의 간략화가 진행된다. 기존 지하 개석식과 함께 지상의 탁자식이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한다. 등날이 형성된 혈구유공유경식검, 심부가 돌출된 유병식검, 성형석부가 출토되며 미송리형토기가 새로이 발견된다. Ⅲ기에는 이른바 묵방형과 토광식이 등장한다. 유경식검과 함께 혈구이단병식검이 부장되며 만입부가 완만한 삼각촉, 묵방형토기가 출토된다. Ⅳ기에는 묘역시설이 대부분 소멸되며 매장주체부 또한 매우 간략화된다. 일단병식검, 평면 능형촉, 외반구연호, 장경호, 옹 등이 출토된다. 또한 세형동검관련 유물이 발견되고 있어 하한을 가늠케 한다.

    영어초록

    After liberated, in the 1950s the prehistoric archaeology of North Korea grew up rapidly, but has reached a long-term plateau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elfreliance Ideology that restricts the academic discussion in the late 1960s. The study of Gojoseon in the 1980s and the theory of Daedong-river culture emerging in the early 1990s show the fact that academic activities of the North Korean archaeology have been restricted by the contemporary political ideology. This research attempts to review the paradigm, approaches, and the logic of chronology with an emphasis on temporal change in the perspective and method of research on dolmens in order to examine how the political paradigm has affected the prehistoric study in the North Korean archaeology.
    The analyses show that there is notable change in a type and structure of a burial boundary and a location and type of burial chambers. Based on the features of distribution in a group, associations among the various burial types, and artifacts unearthed, dolmens in the northwestern Korea can be divided into four phases. Dolmens in Phase Ⅰ are distinguished by the formation of thick and wide typeburial boundary and the emergence of multiple tombs within same burial boundary. The vertical type gets an absolute majority while the horizontal type and the mixed type are partly identified, mostly associated with weaponry goods such as stemmed stone daggers with a section lens, leaf shaped stone arrowheads, and double stemmed stone arrowheads. Phase Ⅱ is represented by a dramatic change in a burial boundary from a group to an individual type. During Phase Ⅱ, the Tabletype dolmen along with the previous Capstone-type dolmen begins to construct, found together with the Top-shaped pottery and the Misongri-type pottery, as well as stemmed daggers with a flute cannel, hilted daggers, and modified stone axes. During Phase Ⅲ, the Stone-supported type and the Pit-type emerge along with the newly added burial goods such as double stemmed daggers with a flute cannel, triangular stone arrowheads, and the Mukbangri-type pottery (the Post-Misongri type). Phase Ⅳ can be explained from the fact that most of burial boundaries became disappeared, and a structure of burial chamber seems likely to be very simple as well. Artifacts during this phase such as single hilted daggers, rhomboidshaped stone arrowheads, jars with outward mouths, and long-necked jars are categorized as those of the Slender Bronze-dagger Culture, which can assess the last trajectory of dolmens in the northwester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