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범패에 나타난 일본쇼묘의 영향 (Traces of Japanese Shōmyō appearing in Korean Pŏmp'a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2.12
34P 미리보기
한국범패에 나타난 일본쇼묘의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69호 / 243 ~ 276페이지
    · 저자명 : 윤소희

    초록

    해방 이후 곳곳에 남아있는 일본어와 같이 우리네 불교의례와 음악에도 그런 모습이 있다. 법화사상으로 해석하는 영산재, 화찬과 화청, 인성과 짓소리, 아이우에오 모음, ‘동음집’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화엄신앙, 일본은 법화신앙이 대중화되어 왔다. 영산재 의례문의 시원인 수륙의례문은 모든 불교신행을 포용한다. 영산재를 법화경의 발원으로 설명하는 데는 일제강점기 한국에 진출한 일본의 법화신앙을 배제할 수 없다.
    일본의 화찬은 일본어 가사에 의한 민요조 쇼묘로써 『근행집』『과송』에 편성되어 있는 찬(讚)이다. 회심곡류 불곡을 화찬과 유사한 명칭 ‘화청’으로 칭하며 범패의 한 종류라 하였으나 회심곡류 불곡은 이야기체 노래로 의식음악이 될 수 없음을 일본의 화찬을 통해 더 선명하게 알 수 있었다. 경제 범패의 짓소리를 ‘인성’이라 하는데, 영남지역에는 이런 용어를 쓰지 않는다. 반면 일본에서는 길게 장인하는 곡명・악리(樂理)・법요・소작(所作) 등을 인성이라 하여 경제 ‘인성’의 용례와 동일하다. 범패의 모음을 늘여 지을 때, 영남범패는 ‘어’와 ‘허’가 주된 모음인데 비해 경제 범패는 일본어 모음구조와 상통한다. 일본은 쇼묘 동음창이 일반화되어있고, 의례집에도 ‘동음’표시가 되어있다. 영남지역 승려들은 개인 의례집을 ‘구감(龜鑑)’이라 하는데 비해 경기지역은 ‘동음집’이라 하여 일본 쇼묘집의 용례와 상통한다.
    한국과 중국은 의례율조를 ‘범패’, 일본은 밀교적 음성행법을 뜻하는 ‘쇼묘’라고 한다. 밀교의 쇼묘는 승려만이 할 수 있는 영역이고, 선(禪)과 현교를 표방하는 종파는 범패를 승려와 대중이 함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밀교종파가 아닌 한국에서 승려들만이 범패를 전담하는 것은 조선조 억불을 지나며 대중 범패가 단절된 데다 일본 밀교의 영향이 가세한 것으로 보인다. 한ㆍ일 불교음악 교류의 전반적인 양상을 보니, 일본이 근원적인 면에서 한반도 영향을 받은데 비해 한국에 미친 일본 쇼묘의 영향은 표면적이고 지엽적인 부분에 한정되었다. 영제에 비해 경제에 일본의 면면이 많은 것은 외래문화를 빨리 수용하는 수도권의 특성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Like the Japanese language that has remained in various places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e same phenomenon exists in Korean Buddhist rituals and music. Yŏngsanjae, which is interpreted as the thought of the Lotus Sutra, Hwach'ŏng(和請), the similar name to Hwach'an(和讚), Injey(引聲) as chissori with あㆍいㆍうㆍえㆍ お vowels, and the name Tongŭmjip(同音集) of which personal ritual text are representative examples.
    Traditionally, Korea has pursued the idea of the ​​Hwaŏm Sutra(華嚴經). On the other hand, in Japan, belief in the Lotus Sutra has been popularized. The root of The text of Yŏngsan’s ritual is in the Suryuk ritual(水陸齋), and was not formerly limited to the thought of the Lotus Sutra. In recent years, Suryukjae has been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traditional thought of Hwaeom and Korean rituals are being revived.
    In Korea and China, ritual music is called ‘pŏmp'ae (梵唄)’ mainly praising the Bodhisattva, while in Japan, it is called ‘shōmyō,’ which means an esoteric voice conduct method. In esoteric Buddhism, shōmyō is a domain that only monks can perform. On the other hand, in China, which advocates Zen and Hyŏnkyo (顯敎), Buddihist monks and the people may sing together. In Korean Buddhism, which is not the esoteric sects, only monks are in charge of the pŏmp'ae. This situation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Japanese esotericism, as well as the severance of people’s chanting of pŏmp'ae under the Chosǒn dynasty's oppression of Buddhism. Through looking at the mutual influence of Buddhism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article indicates that Japan's influence on Korea was limited to a superficial and peripheral category, whereas the Korean influence on Japan was fundament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