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阿羅加耶의 殉葬 -大型 殉葬墓를 中心으로- (Sacrificial burial of Ara-Gaya - Focused on large size sacrificial burial tomb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0.11
30P 미리보기
阿羅加耶의 殉葬 -大型 殉葬墓를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고고학 / 55호 / 45 ~ 74페이지
    · 저자명 : 김수환

    초록

    아라가야의 순장은 함안 도항리고분군의 5세기 3/4분기~6세기 1/4분기 대형 및 중대형의 수혈식석곽묘에서만 확인되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보고에 의하면 9기 정도의 순장묘가 확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사회에 있어 순장의 존재와 양상은 사회발전단계를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만큼 아라가야의 순장 역시 여러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연구방법의 미확립으로 인하여 동일 순장묘의 순장양상에 대한 해석이 불일치한 상황이며, 이로 인하여 아라가야 순장의 시간적인 변화나 계층적 비교, 더 나아가 순장을 통한 지배계층구조의 규명 등 심화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본고는 아라가야 순장의 본격적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틀 마련을 목적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도항리고분군의 대형 순장묘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보고나 연구를 검토하여 다양한 문제점들을 제시하고, 순장자의 인골(매장자세), 착장유물, 공지 등의 고고학적 요소를 활용하여 대형 순장묘의 순장양상에 대한 해석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아라가야 순장의 채용 시점과 도입 과정, 대형 순장묘의 순장유형과 전개양상, 주피장자와 순장자의 사회적 성격 등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Dohang-ri tombs in Ham-an are the central tombs of Ara-Gaya. The tombs were excavated by Cha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fter 1990s. The evident clue to the sacrificial burial was confirmed from the large size stone lined tomb with vertical digging style which dated from the late 5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through the excavation. Now, the sacrificial burial in Ara-Gaya region is only confirmed in Dohang-ri tombs. This shows various changes and differences in class over time.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ological structure for full-scale research of sacrificial burial of Ara-Gaya.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arge size tombs, No. 4, 6, 8, 34 among sacrificial burial tombs of Dohang-ri tombs. The original state of the sacrificial burial was restored by using the dead's bones who buried alive, artifacts belonging to the dead, and the empty space in stone chamber.
    The progress of this study goes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the present reports and studies related to the large size sacrificial burial tomb in Dohang-ri tombs suggested a diversity of problems. Then, an alternative opinion was suggested based on analysis on size of the dead who buried alive, position of burial, location of burial, and so on. The content of the study came through this process is as follows.
    The sacrificial burial of Dohang-ri tombs appeared along with archaeological phenomena, such as the construction of high and large burial mounds in the thi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construction of large size stone lined tomb with vertical digging style, and an increase in quantity and quality of burial goods. Having considered this, the first appearance of the sacrificial burial of Ara-Gaya occurred as a phenomenon upon the introduction of idea of sacrificial burial through sustaining interaction with Geumgwan-Gaya after the 4th century,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tical power structure in the third quarter of the 5th century, and the process of social acceptance. The sacrificial burial in this period is a type having the five deads who buried alive lied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area of the main body's feet. The burial position continued until the forth quarter of the 5th century without a significant change. The size of the sacrificial burial decreased from five people to two and the position of the dead who buried alive changed from right angle to parallel upon the first quarter of the 6th century. This is thought to be a phenomenon which shows an aspect of decline and extinction of the sacrificial burial. The change could be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but it can not be assured that this is true just with the present data. However, since the same aspect is confirmed from a small size sacrificial burial in the same time, it is evident that sacrificial burial declined with a change of social concept from this point. Later, in the second quarter of the 6th century stone lined tomb with vertical digging style changed to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style and no more sacrificial burial has been confirmed after this period in Dohang-ri tombs of Ara-Gaya.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of the large size sacrificial burial of Dohang-ri is the ruling class including the top ruler (king) and it can be known that the people who buried alive are servants who served the main buried body.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people who buried alive as an attendant on the death of their lord, it could be learned that their characteristic of social statu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wearing personal ornament and the burial location in the chamber.
    From now on, I try to study on sacrificial burial of the highest class as well as that of the second highest class based on this late study. The study will be in progress as conducting a research focused on changes of sacrificial burial over time and differences in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