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남지방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옹관묘의 변천과정 (A Study on Transition Process of the jar coffins in Youngnam Area from Early Iron Age to Proto-Three Kingdoms Period)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1.05
38P 미리보기
영남지방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옹관묘의 변천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72권 / 72호 / 87 ~ 124페이지
    · 저자명 : 이춘선

    초록

    본 연구는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영남지방 횡치옹관 편년을 통해 횡치옹관묘의 출현과 그 변천과정에 대해 논증하여 옹관묘와 관련된 문화적인 변동에 대해 접근하려 하였다.
    옹관묘의 분석은 옹관에 사용된 관재인 토기를 壺, 甕, 鉢의 주요기종을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 배열하고 영남지방 내 기존의 분묘 토기 편년관에 대비하여 옹관토기를 편년하였다. 이와 더불어 옹관묘에 채용된 속성과 옹관묘의 배치정형을 분석하여 옹관묘의 변천을 1단계에서 6단계의 편년안을 마련하여 옹관묘의 변천과정을출현기, 발전기, 변화기로 파악하고 그 배경에 대해 검토하였다.
    영남지방에서 횡치옹관의 출현기에 사용되는 토기인 봉상파수부호, 발형토기, 시루 등은 煮沸用토기이며 자비용 토기가 옹관에 사용되는 점은 송국리단계와 원형점토대 단계 옹관묘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은 기종이다. 이러한 자비용기의 옹관묘는 주거지 인근에 군집 배치된다. 따라서, 옹관매장은 단독목관묘에 다량의 청동 부장유물이 부장되는 상위계층의 무덤과는 다르며 삼각점토대토기를 소유한 주거지 인근에 매장되는 유아묘이다.
    이러한 옹관묘의 출현 이후 발전기에는 대호 제작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일정계층을 가진 유아묘는 상당한 부장유물과 저장용 토기인 대호를 소유하며 성인 군집묘에 함께 배치된다. 이는 이주집단을 통해 알게 된 철기문화를 수용하여 발전한 재지상층집단이 기존의 재지인과는 차별화가 이루어졌을 것이며 그러한 이념이 부모의 지위가 더 반영되는 유아묘에까지 세습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수의 이주 세력이 기존 재지세력과의 접변을 통해 철기문화와 더불어 유아에게도 계층의 이념이 투영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변화기에는 옹관토기에서 장동옹, 시루, 노형기대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옹관묘는 기존의 목곽묘에 배장되는 형태와 단독으로 군집 배치되는 지역양식으로 분화한다. 낙동강내륙의 경우에는 유아용 옹관묘가 일정크기로 규격화되면서 생활토기로 쓰인 유아묘가 주묘제의 배장묘적 성격을 띠게 된다. 그러나, 소아묘는 성인묘와 같은 지위가 부여되기 시작하며 어떤 소아묘는 계층에 따라 성인묘보다 우위에 놓이게 된다. 기존의 계층성을 가진 소아는 옹관묘로 부장되기 보다는 성인묘제와 같은 목곽묘로 매장되고 있으며 남해안유역의 경우에는 성인용 專用甕棺으로 사용되며 군집묘로 배치된다. 따라서 영남지방 옹관묘 변화기는 유아묘와 소아묘는 분리가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approach the cultural changes related to the jar coffins by demonstrating the appearance of horizontal type the jar coffins and their transition period through chronological recording of horizontal the jar coffins in Youngnam area from the Early Iron Age to Proto-Three Kingdoms Period.
    For analysis of the jar coffins, types of The jar coffins were classified and arranged, including the vessels, the bowls and the wide mouth bowls, applied to the existing tomb chronicle focusing Nakdong river in Youngnam Area, and the validity of such arrangement was examined.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jar coffins with regard to such change of the jar coffins, and examined the changes of the jar coffins 1 to 6 stages with regard to changes in arrangement pattern in ancient tumulus.
    As above, the change of the jar coffins in Youngnam area was examined and further investigated with regard to the change of ancient tumulus of Jin, Byeonhan(辰·弁韓)society, in terms of 1st stage and 2nd stage as appearance stage, 3rd stage to 5th stage as development stage, and 6th stage as regional change stage. Background for such stages were also examined.
    The jar coffins used in the appearance period of horizontal the jar coffins in Youngnam Area, small jars with stick shaped handles and rim flared jars, wide mouth bowls and steamer were the pottery for boiling, and the fact that the pottery for boiling was not used for the jar coffins had not appeared in the stage of Songkukri(松菊理)and circular clay-stripe pottery. With appearance of pottery for boiling, burial of the jar coffins might be caused by changes in viewpoint on afterlife and burial service.
    After the appearance of such the jar coffins, upper class groups might accept the Iron Age culture through the migrants in the development period, differentiating from the existing residents and such ideology might be passed on to the children graves where the position of their parents were more reflected. Progressive assimilation of many migrant groups with existing groups might cause new transition of recognition on the concept of children grave and this Iron Age culture, which further caused change in concept of class in children.
    After that, along with the creation of wood-lined chamber tombs, material culture had rapidly developed in Youngnam area and productivity expanded in the stage of wood-lined chamber tombs, so that various kinds of pottery cultures were expanded in every region along with duplication of wood-lined chamber tomb. Accordingly, in the change period of the jar coffins in Youngnam area, the child grave with existing class feature were buried with same wood-lined chamber tomb like adult tomb rather than buried with daily life pottery and among them, infant grave and child grave seemed to be separated. That is, child grave began to have same position as that of adult grave and even some child grave had superior position than adult grave depending on his class. The jar coffins for child was standardized to certain size in inland Nakdong river area, subordinate tomb belonged to one family characters of main memorial service for the adults, while more and more The jar coffins dedicated for use were diverted for child coffins around the southern co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상고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