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남지방 위석목곽묘의 구조적 특징과 성격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Surrounded Stone-type Wooden Chamber Tombs of the Yeongnam Provinc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8.10
45P 미리보기
영남지방 위석목곽묘의 구조적 특징과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4호 / 157 ~ 201페이지
    · 저자명 : 권용대

    초록

    위석목곽묘는 목곽 외면에 돌 혹은 돌과 흙을 혼용하여 쌓아올린 다음 盛土가 이루어진
    묘제이다. 적석목곽묘와 같은 적석 함몰양상을 보이지 않으며, 석곽묘처럼 벽석의 정연성,
    모서리 맞물림, 개석 등을 갖지 않는다. 그리고 적석목곽묘나 석곽묘보다 이른 시기에 축조되기
    시작하여 비교적 장기간 공존한다. 현재까지의 자료로 볼 때 가장 먼저 위석목곽묘가 출현하는
    지역은 울산 중산동과 포항 학천리이다. 출현기의 위석목곽묘는 평면형태, 유물 부장양상 등
    전대의 순수목곽묘 요소를 유지하면서 석재활용기술을 도입하였다. 출현기 위석목곽묘의
    조영집단은 당시 최고지배자 집단이었으며, 순수목곽묘도 여전히 축조되었다. 그러므로
    위석목곽묘는 순수목곽묘에서 분화·발전된 묘제로 파악되며, 사회분화와 맞물려 출현한 것으로
    판단된다.
    석재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소재 중 가장 견고하고 내구적이며, 무게와 압축강도가 다른
    천연재료에 비교하여 매우 뛰어나다. 분묘의 재료로 이용될 경우 크기와 무게, 입자의 각도에
    따라서 기초의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울산, 경주, 포항지역에서는 석재의 이러한 장점과
    축조기술을 먼저 도입하여 목곽묘에 적용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울산, 경주, 포항은
    선사·고대부터 형산강을 매개로 하여 정치, 경제, 사회와 관련된 모든 물적, 인적 교류와 정보의
    공유, 교환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 과정에서 위석목곽묘는 신라 중심문화권에 먼저
    정착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5C代에는 순수목곽묘, 위석목곽묘, 적석목곽묘, 석곽묘 등이 모두 공존한 시기로
    영남지방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같은 신라문화권이라도 지역과 피장자의 등급에 따라
    묘제채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정묘제가 특정한 집단이나 상위등급에서만 채용되기도 하지만
    모든 집단과 등급이 공유하면서 한정된 시기에 채용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묘제채용은 특정집단의 지배구조나 사회분화 정도, 매장관념, 주변환경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Surrounded stone-type wooden chamber tombs consist of a wooden chamber filed
    with stone or soil and subsequently covered with earth. Unlike the filed stone-type wooden
    chamber tombs, there is no evidence of wooden chamber collapse. In addition, the stone
    walls were not well constructed, the corners did not fit and the there was no cover stone.
    The surrounded stone-type tomb appeared earlier than both the filed stone-type tomb and
    the stone chamber tomb, but co-existed with these later tombs for a relatively long time.
    Current evidence indicates that the surrounded stone-type tombs first appeared at the sites
    of Pohang Hakcheon-ri and Ulsan Joongsan-dong. The early surrounded stone-type tombs
    shared similarities in terms of structure and grave goods with the wooden chamber tombs
    of the previous period, but with the addition of stone construction technology. The early
    surrounded stone-type tombs can be understood as the burials of the highest elite, but wooden
    chamber tombs also continued to be used. It is therefore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early
    surrounded stone-type tombs were developed from wooden chamber tombs concomitant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lexity.
    Stone is the most durable material in the natural world and can withhold great
    weight and pressure. When used as a building material for burials, stability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size, weight and the cutting angle. It is thought that these characteristics
    of stone were first adopted to the construction of wooden chamber tombs in the Geongju,
    Pohang and Ulsan area. Since ancient times, materials, information and human resources
    related to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life were shared and exchanged amongst these areas
    via the Hyeongsan River. It is thought that though this process, the surrounded stone-type
    tombs came to be established in the Silla culture sphere.
    In the fifth century AD, wooden chamber tombs, surrounded stone-type tombs,
    filed stone-type tombs and stone chamber tombs co-existed throughout Yeongnam province.
    Different types of burial appear to have been used according to the deceased's status within
    a common Silla cultural sphere. Although certain burial types were restricted to certain
    social groups, it also appears that other burial types were used by the general community.
    It is therefore likely that the selective use of burials was determined by the elite power
    structure, degree of social differentiation, notions pertaining to burial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