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남지역 출토복식 일례에 관한 연구 - 16세기 상산김씨 김세유 묘, 문화유씨 유사경의 어머니 묘 출토유물 - (A study on the Excavated costume of Jeon-nam area - excavated from 16c Sang-san Kim’s and Mun-hwa Ryu’s tomb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9.06
29P 미리보기
전남지역 출토복식 일례에 관한 연구 - 16세기 상산김씨 김세유 묘, 문화유씨 유사경의 어머니 묘 출토유물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18호 / 167 ~ 195페이지
    · 저자명 : 안명숙

    초록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출토복식은 16세기 복식으로 출토유물의 수량은 적으나 그 시대의 중요한 특징을 나타내는 철릭과 방령반비이다. 같은 묘에서 출토된 유물은 아니나 시대가 비슷한 16세기로 그 시대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 출토 당시 상태는 양호했으나, 출토 후 곧바로 수거 및 처리 작업에 들어가지 못해 상당한 부분 손상이 되어 있어 대부분의 옷을 수거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출토 철릭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중깃이 아닌 둥그레깃이고,
    -거의 1:1 비율에 가까운 상의와 하상의 비율,
    -직선에 가까운 소매 형태,
    -0.1~0.2cm 정도의 고운 주름 간격,
    -대부분의 홈질과 깃, 옷의 가장자리에 곱게 된 상침바느질 등
    조선시대 중기 양식을 나타낸다.
    방령반비는 15세기 이전과 18세기 이후에 나타난 적이 없는 의복으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중깃과 섶을 연결하는 덧단,
    -앞이 길고 뒤가 짧은 형태의 앞뒤 길이 차이 등 이 시대의 양식을 또한 잘 나타낸다.

    영어초록

    The excavated costume, that we are studying about, is from 16th century and excavated relic numbers are very rare, but it shows the important features that are Chul-rik and Bangyung-Banbee.
    This relic is not from the same tomb, but its also from around 16th century which shows the right time of the feature.
    Its condition was fine when it was excavated, we didn’t deal with it and collect it right away, so it was damaged a lot.

    excavated of Chul-rik’s features are listed as below.
    -it is not double collared, it was rounded.
    -its ratio was almost close to 1:1 of upper garment and lower garment.
    -sleeves were formed as close to straight lines.
    -pleat intervals were really neat as 0.1~0.2cm.
    -most of broad-stitchings, collars, and the costume’s decorative saddle stitching edges are showing the Chosun dynasty’s middle style.

    The features of Banryung-banbee which hasn’t showed up before 15th and after 18th century are listed as below.
    -square neckline was formed by doulbe collar, gusset was hung on top, and the sleeves were in half.
    -also the front side was longer than the back side.

    These are describing(showing) the style of the Chosun dynasty specific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