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북아시아 지석묘의 표상 -전통과 변형- (Representation of the Northeast Asian Dolmen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9.12
32P 미리보기
동북아시아 지석묘의 표상 -전통과 변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광장 / 25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오강원

    초록

    지석묘는 상석이 지상에 드러나 있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서 표상의 물질적 표현이다. 동북아에서 지석묘가처음으로 출현한 것은 요동 남부인데, 이 지역의 초기 형식은 기념물적 성격을 물질적으로 표상하고 있는 거대한 탁자식 지석묘였다. 한반도에서는 청동기시대 전기 후반 전엽 석관묘가 축조되기 시작하다가, 후엽에 이르면 전국적으로 취락에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특정 공간(신성 공간)을 도랑을 평면 원형으로 둥그렇게 파 안팎을 구획하여 놓은 환호가 등장하는데, 석관묘 축조 집단이 환호 구획의 아이디어를 석관묘에 적용하게 되면서주구석관묘라는 새로운 무덤 유형이 출현하게 된다.
    이 즈음 지석묘제가 남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영남의 경우 청동기시대 후기 초 주구석관묘 조성 집단이 지석묘에서 상석의 표상성을 따오고 주구 내부에 석재를 채우게 되면서 묘역식 지석묘가 출현하게 된다.
    다만 영남 이외의 지역에서는 주구석관묘와는 상관없이,서북한의 묘역식이 수용되거나, 매장주체부를 보호하고 상석의 무게를 지탱하고자 하는 기능적 목적과 지상(묘역)에 상석에 부수하는 표상성을 현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묘역식 지석묘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외 서북한의 묘역식은 동일 세대공동체의 유대 관계를 현시하는물질적 표현으로서 묘역식 지석묘가 출현하였다.
    청동기시대 후기 후반에 이르면, 지석묘의 전통적인 표상이 한반도 남부에서 재생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한반도 남부 지석묘의 전기 형식인 개석식과 묘역식이 지상화되면서 출현하게 된 탁자식, 기반식,주형지석식, 위석식 지석묘이다. 이 형식의 지석묘들은 무덤과 마을의 표지석 및 집단의 기념물과 경계석 등으로도 활용되었다. 덕천리식 지석묘는 지상 구조에서는 지석묘의 조성 원리가, 지하 구조에서는 석관묘의 조성 원리가 극대화되어 있는 것이라할수있는데, 새로운 표상 전통의 확립이라할수있다. 이외 성혈과 암각화 지석묘또한한반도특정 지역 지석묘의 관념이자 의례적인 표상이었다.

    영어초록

    Dolmen is the materialistic expression of the representation in itself for having its capstone revealed above ground. It was in the southern region of Eastern Part of Riaoning Province in China when dolmen first appeared in Northeast Asia, and the early-type was a huge Table Stone type dolmen which materialistically represented its monumental nature. Stone coffin burials were begun to be built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early part of later Lower Bronze Age, and in the posterior part, ditched enclosure appeared as the ditches of specific spaces (sacred spaces), which were endowed with special meanings within the settlement, were carved in and out in a circular manner in a nationwide scale. And a new type of burial pattern called 'Stone coffin tomb with a burial ditch' emerges as the group of Stone coffin constructors applied the idea of ditched enclosure to the Stone coffins.
    Around this time, dolmen burial type had also affected South Korea, In case of the early part of Upper Bronze Age in Keongsang Province, as a group of Stone coffin tomb with a burial ditch constructors acquired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capstone from dolmen and fill the interior of the ditch with stones, the Burial boundary type dolmen had emerged. However, in areas other than Keongsang Province, the Burial boundary type dolmen had emerged with the intention to display the representativeness inherent to the Capstone and the functional purpose to protect the central part of the burial and resist the heaviness of the Capstone, or by accepting western North Korea's Burial boundary type, regardless of the Stone coffin burial with ditch.
    Upper Bronze Age, traditional representations of the dolmen were regener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resulted in the grounding of the Burial boundary type and Covering stone type, which is the former type dolmens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is had led to the emergence of Table stone type, Base type, Pillar stone type, and Stone-circle type dolmen. Dolmens of these types were also utilized as tombs and village signpost stone, as well as monuments and boundary stones of the group. Deokcheon-ri type dolmen can be said to have established a novel representation tradition as it maximized the construction principle of the dolmen when above ground and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the Stone coffin when underground. In addition, cup mark and petroglyphs dolmens were also the concepts and ceremonial representations of the dolmens of specific regions in the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