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土器出土 百濟 石室墓의 檢討 (Examination of Baekje's Stone Chamber Tomb with Silla Potte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3.12
33P 미리보기
新羅土器出土 百濟 石室墓의 檢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97호 / 101 ~ 133페이지
    · 저자명 : 이남석

    초록

    본고는 백제의 횡혈식 석실묘에 신라토기가 매납된 유적의 현황을 살피고 거기에 남겨진 석실묘의 구조내용을 검토하면서 신라토기가 매납된 정황적 배경을 이해하여 보고자 마련한 것이다. 아울러 백제 석실묘에서 신라토기가 출토될 수 있다는 전제의 마련과 함께 석실묘와 같은 분묘의 주체 인식은 유물만이 아니라 유구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하여 접근할 필요가있다는 점을 강조하여 보고자 한 것이다.
    백제 석실묘로서 특이하게 신라토기가 부장된 사례는 청주의 주성리 석실묘와 안성의 장원리 석실묘, 그리고 서울의 가락동 방이동 석실묘가 있다. 이들은 모두 백제 초기의 횡혈식 묘제유형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묘실내에 신라토기가 남겨져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외에 백제묘제로서 한성도읍기로 편년될 수 있으면서 신라유물은 훨씬 늦은 6∼7세기대의 것으로층위나 구조상으로 백제 횡혈식 석실묘를 재활용한 뚜렷한 흔적이 확인 된다.
    석실묘의 묘제특징은 출입시설을 마련하여 반복적으로 출입할 수 있다는점이다. 나아가 묘실의 출입은 추가장에 보다 큰 목적이 있었기에 석실묘는 다장적 특징도 갖추고 있다. 백제사회에 횡혈식 석실묘의 등장은 상장례 중, 묘제가 기왕의 단장적 일회성 매장행위에서 다장적 반복적 매장행위로 전환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한국 고대사회는 삼국시대로 구분되듯이 여러 정치체가 정치적 역량을 갖추면서 각축을 이루었고, 때문에남겨진 문화유산은 시간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횡혈식 석실묘는 삼국이 고대국가로 성장하면서 주묘제로 자리함에, 각각의 국가 성장의 정도에 따라 수용에 차이가 있고 나아가 사용주체에 따라 고유한 특성도 갖추게 된다.
    한성에서 웅진으로 천도 즈음에 나타난 백제의 정치환경 변화는 기왕의거점지역에 대한 변화가 수반될 수밖에 없었다. 반면에 6∼7세기대 신라의비약적 발전은 점진적으로 백제 강역을 차지하면서 백제 고지에 방치된 석실묘의 재활용이 이루어지면서 백제 석실묘에 신라인의 재매장을 통해 신라토기가 부장품으로 남겨진 것으로 확인된다.

    영어초록

    This dissertation aims to examine Baekje's stone chamber tombs in which Silla pottery was found, and to provide understanding how the latter came to be buried in the tombs. Another aim is to establish a premise that discovery of Silla pottery in Baekje's tombs is not an abnormality, as well as to stress the need for comprehensive approach when ascertaining the identity of buried person.
    It is considered unusual for Silla pottery to be found in Baekje's tombs.
    The tombs containing Sillan pottery has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re all early models of Baekjean stone lined tombs. These include tombs found at Cheongju's Juseong-ri, Ansung's Jangwon-ri, and Seoul's Garak-dong and Bangi-dong. Considering the facts that the tombs date back to the period when Hansung was Baekje's capital, and that Sillan relics found at those tombs are from to 6-7 century perio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aekje's stone lined tombs were reused.
    The most pronounced feature of Baekje's stone chamber tombs is an entrance for repeated visits and additional burials. The appearance of such tombs points to the transition of Baekje's burial system from single burial to multiple burials. Due to the ancient Korean history where 3 states competed against each other for more lands, cultural relics from this period show differences depending on time and place. As the three kingdom Period developed into well defined states, the stone lined tomb gradually became the norm. But the process of adoption occurred with varying degree of speed,and with differentiated features according to the identity of person being buried.
    The change in political climate emerged by the time of Baekje's transfer of its capital from Hanseong to Woongjin was inevitably accompanied by changes in Baekje's former main domain. Silla's rapid upsurge in power during 6-7 century, and her subsequent expansion into Baekje's former territory would've created circumstances where Baekjea's tombs were taken over by the Sillans and reused, thus providing explanation for the discovery of Sillan relics in Baekjea's tomb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