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왕묘(關王廟) 악장의 형성과 개찬의 의미 - 정조와 고종대를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Formation and Revision of Music for Gwanwangmyo Shrine - With Emphasis on the Times of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6.08
35P 미리보기
관왕묘(關王廟) 악장의 형성과 개찬의 의미 - 정조와 고종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77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김명준

    초록

    우리나라에 관왕묘는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에 의해 수입되었다. 이후 이 제례는 한동안 관심 밖에 있다가 숙종대 부활하여 영조대에는 소사(小祀)로 지정되고 정조와 고종대에는 제례를 재정비하면서 악장을 갖게 되었다. 정조는 관왕묘를 중사(中祀)에 준하는 수준으로 올려놓았고 악장을 직접 짓기도 하였다. 기존관왕묘제에는 악장은 없었지만 숙종, 영조, 사도세자의 송시(訟詩)들과 자신이 지은 묘비명을 참고하여 악장으로 삼은 것이다.
    정조의 악장은 3장으로 전대 송시들을 집대성한 것이다. <왕재곡>은 관우의 무공과 충의를, <힐향곡>은 조선과 명과의 특별한 관계와 의리를, <석가곡>은 관우를 무신(武神)으로 삼아 노래 전체에 무묘제(武廟祭) 악장으로서의 위상을 부여하였다. 애초 관우는 ‘왜적 격퇴’의 이미지로 수용되었지만 정조는 이보다 의리, 충절, 정의, 무용 등을 중심으로 관우의 초상을 삼았다. 궁극적으로 정조는 관왕묘악장을 통해 문무겸치(文武兼治) 의지와 상무(尙武) 정책을 천명함으로써 장용영을 중심으로 자신의 실질적 군사력을 강화하려 하였다.
    고종은 대한제국 선포 이후 황제국에 맞게 관왕묘를 관제묘로 개편하고 악장을 개찬하였다. 이 악장에서 관우는 한나라 무인(武人)으로서의 모습은 퇴색되고그 대신 조선의 왕과 같은 이미지에 신령스러움이 더해져 천신(天神)으로 조각되었다. 이렇게 신앙의 차원으로 변모된 관제묘의 악장은 시종 국가적 차원에서 복을 갈망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고종이 이 악장을 통해 소망한 것은 일본 세력의 국내 차단이라 할 수 있다. 청일전쟁, 을미사변을 거치면서 느꼈던 일본의 성장과위협 그리고 반감 등이 작용한 것이다. 따라서 ‘왜적 격퇴’라는 관우의 초상을 빌려 일본 세력을 제압하고 천제신의 이미지로 전제국가를 건설하려 했던 것이다.
    정조와 고종은 한나라 무장 관우에게서 ‘중화 존숭, 충의 가치, 실질적 무력’ 등을 악장으로 형상화하고 난국을 해결하려 한 점에서 정치문학인 악장으로서의 의의를 둘 수 있다. 그러나 악장이 시대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제례악장의 권위와 실효가 반감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인물을 허황되게 포장하여 악장의 진지함과 진실성을 잃은 것은 물론 중세에 유효했던 중화 수호, 충의 등의성리학적 이념을 여전히 고수함으로써 근대적 문제와 고민을 해결할 수 없었다.
    결국 정조와 고종은 막대한 국가 예산을 국가 제례에 지출하면서 강한 국가와 군주가 되지 못했으니 그들의 관왕묘제와 악장은 비효율적인 국가사업이자 실패한정책의 단면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Gwanwangmyo Shrine was imported to Korea by a general from the Ming Dynast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4. This ritual did not attract attention for a while, but was revived by King Sukjong. King Yeongjo designated it as a small national ritual and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revised the ritual ceremony to create music for it. King Jeongjo heightened the class of Gwanwangmyo Shrine into a mid-sized natural ritual and composed music himself. Gwanwangmyo Ritual did not have music originally, but he referred to the odes of King Sukjong, King Yeongjo, and Prince Sado and his own monument names to compose the music.
    King Jeongjo’s music has three parts and is a collection of odes of previous times. <Wangjaegok> sings the military service and loyalty of Guan Yu, <Hilhyanggok> sings the special relationship and faith between Joseon and the Ming Dynasty, and <Seokgagok> sings about Guan Yu as the military god. The entire song of Seokgagok was to be performed for the Mumyoje Ceremony. Guan Yu was originally a symbol of ‘defeating the Japanese invaders,’ but King Jeongjo portrayed Guan Yu based on his faith, loyalty, justice, and military performance. Ultimately, King Jeongjo declared his dedication to ruling with both literary and military personnel and the military first policy through his music for Gwanwangmyo Shrine and intended to strengthen his military powers with Jang Yong Young.
    King Gojong revised Gwanwangmyo into Gwanjemyo and re-compiled the music after he declared the foundation of Daehan Empire. In his music, Guan Yu was portrayed not so much as a military figure, but as a deity with holiness added to the image of a king. The music for Gwanjemyo was heightened to the level of a religion and focused on wishing for national prosperity. King Gojong wished to keep the Japanese invaders out through this music. He was affected by the growth and threats of Japan and his antipathy against Japan through the First Sino-Japanese War and the murder of Queen Myeongseong. Therefore, he intended to borrow from Guan Yu’s symbol to ‘defeat the Japanese invaders’ and build an autocratic state with the image of a god.
    It was significant that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adopted the 'devotion to China, value of loyalty, and true military power' of General Guan Yu for the political music in an effort to overcome the hardships.
    However, the music did not consider the shift in time and rather lessened the authority and effect of ritual music. They extravagantly portrayed a character to lose the seriousness and truthfulness of music and bound to the ideology of Sung Confucianism with devotion to China or loyalty that was only valid in the medieval times. For these reasons, they failed to overcome the modern issues. In the end, King Jeongjo and King Gojong poured enormous national budget into the national rituals and failed to build a powerful kingdom. Their Gwangwangmyo Ritual and music represent an inefficient national project and a failed poli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