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古代 中國 鎭墓獸의 變容과 武寧王陵 鎭墓獸 再論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Ancient Chinese Zhenmushou(Guarding Animals in Tombs) and Genealogy on the Seoksu(Stone Image of an Animal Set Before a Tomb)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9.02
22P 미리보기
古代 中國 鎭墓獸의 變容과 武寧王陵 鎭墓獸 再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69호 / 49 ~ 70페이지
    · 저자명 : 조윤재

    초록

    무령왕릉 석수는 고대 중국의 동한시기부터 등장하는 고분부장 진묘수에 그 근원을 두고 있으며 漢系(한나라 스타일) 진묘수의 전통을 계승한 남조의 고분부장 진묘수와 계보를 같이 하고 있다. 무령왕릉 석수의 출현은 백제 자체의 정치적 정황과 상장의례를 충분히 반영하는 한편 남조와의 대외적 관계를 고려한, 치밀하고 정교한 변용을 거친 산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남조능묘 석각 및 고분부장 진묘수에 대한 시각은 대부분 이원적인 事象으로 인식함으로써 양자를 구분하여 고찰하는 경향이 우세하였다. 그러나 무령왕릉 석수에서 관찰되는 양자의 조합과 변용 양상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백제가 특정 시기 남조능원의 요소와 왕후 및 상층부의 상장의례를 동시에 감안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남경 및 주변 일대의 능묘석각에서 보이는 문양이 무령왕릉 석수에서도 관찰되는데, 날개[兩翼]와 같은 정교한 표현은 보이지 않지만 문양의 전체적인 유사성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백제가 남조묘의 부장용 진묘수와 함께 지상의 진묘기물인 석각을 모두 參酌하였을 정황을 시사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origin of the Seoksu, a stone image of an animal set before a tomb,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s the Zhenmushou, guarding animals in tombs, appearing from the Eastern Han Dynasty of Ancient China, and the genealogy is with the Zhenmushou of Nanzhao Dynasty that succeeded the tradition of Han Dynasty style of Zhenmushou. The appearance of Seoksu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reflects the political situation and funeral ceremonies of Baekje sufficiently, and it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passing through elaborate and exquisite trans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oreign relationship with the Nanzhao Dynasty. Until today, the view on the stone carvings on the tombs of Nanzhao and Zhenmushou in the tombs were mostly considered separately by recognizing in dualistic thinking. However, the aspect of combinations and transformations observed in the Seoksu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cannot be excluded, and this has high possibility that Baekje considered the elements of Nanzhao Dynasty in the specific period, and the funeral ceremony of the upper class at the same time. The patterns shown in the stones of the tombs in Nanjing and surrounding regions are also observed in the Seoksu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exquisite expressions such as both wings were now observed, but similarity in the overall patterns were verified. Baekje took into consideration on both the Zhenmushou of the Nanzhao tombs along with the stone carvings of Zhenmusho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