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에 나타난 관음신앙의 특징 (The Characteristic of Avalokitesvara Belief in 『Gwanseumbosal-myoung-sihyeon-jejunggamro(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3.02
36P 미리보기
『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에 나타난 관음신앙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39호 / 217 ~ 252페이지
    · 저자명 : 차차석

    초록

    이 논문은 『제중감론』에 나타난 관음사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크게 세 분야로 구분해 관음응현의 방식과 목적, 관음응현의 논리체계, 각 종파의 사상이 융합된 관음의 본질 등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논문의 전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중감로』에 나타난 관음보살의 응현은 自覺과 자비행의 실천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진여법신의 자각은 일체중생은 누구나 평등한 법신을 지니고 있으며, 존귀한 존재라는 사실에 대한 자각이다. 그리고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는 무한대의 관계 속에 살 수 밖에 없는 존재란 사실을 자각하고 일체 중생에 대해 자비를 실천을 강조한다. 이때 관음보살의 응현은 유신론적인 속성의 보살이 아니라, 자각한 관음수행자 자신의 자비행을 통해 구현되는 사회적 실천의 형상화 내지 자기동일성이다. 관음과 수행자 자신의 일체화를 통해 관음보살이 응현하는 것이다.
    둘째 『제중감로』에 나타난 논리 형식은 체용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체용론을 기반으로 감응사상과 성기사상이 융합되어 독자적인 관음응현의 논리를 구축하고 있다. 여기서 체는 진여법신이고 용은 일체의 존재 내지 자비행의 실천이라는 점에서, 개개의 존재는 그 자체로 존귀한 가치를 지닐 수 있게 된다. 그러면서도 본질과 작용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지쌍융론을 전개한다. 비지쌍융론 역시 체용론의 바탕 위에 있지만 무집착의 기반 위에서는 전개되는 실천적인 관음사상이 되고 있다.
    셋째 『제중감로』는 다양한 형태의 종파사상이 융합되어 있다. 유심정토, 선사상, 화엄사상이 『제중감로』의 관음사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진여법신을 자기관음이나 不變의 속성으로 이해하는 등, 기존에 유행했던 다양한 고급이론을 활용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각종의 종파 사상이 융합된 관음이라 정의할 수 있다.
    넷째 『제중감로』에 나타난 관음보살은 중생구제를 중시하며, 그것을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실천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자비행의 실천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이조 후기의 사회적 불안을 연상하게 되지만, 그것보다는 전통적인 선사상이 지니는 관념적이고 탈사회적인 흐름에서 탈피하려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nsiders the characteristic of the thought of Avalokitesvara in 『Gwanseumbosal-myoung-sihyeon-jejunggamro(觀世音菩薩妙應示現濟衆甘露)』( Avalokitesvara' mystic revelation for the deliverance of sentient beings as like nectar, from now marking as Jejunggamro) on 3 points of view; 1) the form and aim of the revelation(示現) of Avalokitesvara, 2) the logic system of the revelation of Avalokitesvara, and 3) the essence of the concept of Avalokitesvara which is made up different thoughts of many sects. The total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revelation of Avalokitesvara can be explained as the self-realization(自覺) and the practice of compassion(慈悲行). The realization to Dharma-kaya means to realize the fact that each living beings is valuable and has a same dharma-kaya. Here, the revelation of Avalokitesvara means a practicer of Avalokitesvara, himself who practice compassion for living beings, not the Avalokitesvara as a god.
    Secondly, the logic system in Jejunggamro builds it's own the logic to the revelation of Avalokitesvara, which has the theory of substance and function(體用論) as a root, and is fused with the thought of divine response of the buddha and bodhisattva(感應思想) and seonggiseol(性起說, the thought of arising of all phenomena from the essence of the universe). Owning to this point that the substance is the dharma-kaya, and the function means all thing, or the practice of compassion, each living being can have a noble value. Morever, Jejunggamro develops the theory of fusion of karuna and prajna(悲智融合論) to prevent to divide substance and function as mutually exclusive two realities.
    Thirdly, the thought of Jejunggamro is made up many thoughts of different buddhist sects, as like the pure land thought, Zen, Huayen. So we can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Avalokitesvara in Jejunggamro as one fused with different concepts of many buddhist sects.
    Finally, the characteristic of Avalokitesvara in Jejunggamro is a taking a serious view of the deliverance of sentient beings, and the emphasis on a practice to achieve it. In the point that the thought of Jejunggamro stresses the practice of compassion, although unstable society in the latter part of Jo-seoun(朝鮮) Dynasty is remined, but in this point that it tries to overcome the trend of traditional Zen thought which is unrealistic and desocial, it is worthy no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