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양주 묘적산(妙寂山)의 역사와 문화공간적 의미 (The history and cultural space meaning of Myojeok-Mountain(妙寂山) in Namyangju)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11
28P 미리보기
남양주 묘적산(妙寂山)의 역사와 문화공간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55호 / 231 ~ 258페이지
    · 저자명 : 김세호

    초록

    조선이 한양(漢陽)에 도읍을 정하면서 경기(京畿) 일대는 도성 근교의 문화공간으로 각광을 받았다. 이로 인해 이곳에는 문화사적으로 주목할 만한 공간이 산재해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일천한 상황이다. 이 글에서는 오늘날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묘적산(妙寂山)을 중심으로 그 역사와 공간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묘적산은 행정구역상 양주(楊州)에 속한 곳으로 지리지 등에 그 이름이 등장한다. 조선 전기에는 도성 근교의 사냥터로 활용되며 역사에 이름을 올렸고, 조선 후기에는 사대부의 선영이 경영되며 풍수적인 가치로 주목을 받았다. 한편, 묘적산에는 왕실의 후원하에 묘적사(妙寂寺)가 들어섰고 묘적사는 조선 후기 문인들의 유람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 장동김문(壯洞金門)은 묘적산을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김상헌(金尙憲)을 시작으로 김수흥(金壽興) 및 김수항(金壽恒)의 아들들은 선대의 자취를 이어받아 묘적산에 발을 들였다. 특히 김수항의 아들 김창협(金昌協)은 묘적산의 산수를 사랑하여 이곳에 별서를 건립하고자 했고, 묘적사는 평생의 마지막 유람처로 기억되었다.
    장동김문에 의해 주목된 묘적산은 이후 도성 근교의 대표적인 명승(名勝)으로 자리매김했다. 그중에서도 김창협과 결부된 공간적 의미는 그 변화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후대 문인들은 김창협의 자취를 그리며 묘적산을 유람하고 그 아름다움을 노래했다. 이러한 유람은 19세기까지 이어졌으니, 이는 묘적산과 묘적사의 남다른 위상을 증언하고 있다.

    영어초록

    When the Joseon dynasty established its capital in Hanyang(漢陽), the Gyeonggi(京畿) area was spotlighted as a cultural space near the capital. This gave rise to many cultural and historical places here, but research on them is still lacking. In this study, I studied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Myojeok-Mountain(妙寂山) located in Namyangju, Gyeonggi-do.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Myojeok-Mountain belonged to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Yangju(楊州) a place that appears on various map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used as a hunting groun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used as a family burial ground and received attention for its feng shui(風水) value.
    In the late Joseon dynasty, Jangdong Kimmun(壯洞金門) is believed to have transformed Myojeok-Mountain into a cultural space. Kim Sang-heon(金尙憲), Kim Su-heung(金壽興) and the sons of Kim Su-hang(金壽恒) emulated their predecessors and set foot on the Myojeok- Mountain. In particular, Kim Chang-hyeop(金昌協), the son of Kim Su-hang, appreciated the scenery of the Myojeok-Mountain and sought to build a Byeolseo(別墅) here, which was thought to be the last Byeolseo of his life.
    The Myojeok-Mountain, which was noted by Jangdong Kimmun, has since established itself as a representative monk near the capital. Among them, the spatial significance associated with Kim Chang-hyeop exerte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change. Later, writers visited Myojeok- Mountain and wrote poems about its beauty. These tours continued until the 19th century, and are proof of its unique cultural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