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몽 전래동요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Mongolian Traditional Children´s S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0.02
20P 미리보기
한․몽 전래동요의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몽골학회
    · 수록지 정보 : 몽골학 / 28호 / 267 ~ 286페이지
    · 저자명 : 박소현

    초록

    본 연구는 자문화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유목사회인 몽골문화를 이해하기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몽골과 한국의 전래동요를 비교한 것이다. 동요는 아동문화의 근원이며,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인간본능의 내면세계를 관찰할 수 있는 유용한 분야이다. 따라서 한국과 몽골의 전래동요를 음악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양국 음악문화의 동이점(同異點)을 고찰하였다.
    몽골은 1940년대 이후 학교교육이 시작되고, 1942년 ‘몽골음악 작곡가 협회’의 작곡가들이 동요를 작곡하면서, 동요란 의미인 ‘후흐딩 도’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한국은 1921년 ‘색동회’의 회원들이 중심이 되어 동요가 창작되면서 동요란 용어가 등장했고, 1941년『한글』지를 통해서 처음으로 전래동요란 용어가 사용되었다.
    전래동요의 분류는 양국모두 좀 더 논의되어야 한다. 몽골의 경우 전래동요란 학문적 분류체계가 없으나, 중국의 내몽골 학자 哈斯巴拉特가 작품의 표제에서 체현되는 점에 따라 분류한 것이 있다. 한국에서도 몽골의 분류체계와 같이 작품의 표제에서 체현되는 점에 따른 분류가 주류이지만, 그 외에 연행자의 기준에 따른 분류, 공간 개념에 따른 분류, 아동생활의 특성에 따른 분류가 있다.
    양국의 전래동요를 음악적으로 비교 분석하면 몽골보다는 한국에 더 단순한 것이 많다. 그 원인으로 한국은 정주생활방식으로 인하여 아동집단문화가 형성되기에 아동 스스로 놀이를 위한 유희요가 창작될 수 있다. 반면 몽골의 경우 성인이 창작하여 아동에게 전승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는 가족단위로 생활하는 유목사회가 갖는 특수성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아동집단문화가 존재하는 정주문화인 한국과 가족단위의 유목문화인 몽골은 생활문화적 상이성(相異性)으로 인하여, 전통사회 속에서 아동문화의 차이를 양국의 전래동요의 음악적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what compare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between Mongolia and Korea as a means for understanding Mongolian culture, which is nomadic society with escaping from ethnocentrism. Children's song is the origin of children's culture, and is the useful field that can observe the internal world of human instinct, which is formed in the process of growing into adult.
    Accordingly,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raditional children´s songs between Mongolia and Korea, and then considered difference and sameness in musical culture of both countries.
    Mongolia started to use the terminology called ‘Xuxdiin duu(Хүүхдийн дуу),’ which is the meaning of children's song as the school education has been begun since the 1940s and as the composers for ‘Mongolian Musical Composers Association’ compose children's song in 1942. Korea was emerged the terminology called children's song as children's song is created with the center on members for ‘Saekdonghoe (색동회)’ in 1921. The terminology called traditional children´s song was used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e journal『Hangeul(한글)』in 1941.
    Classification i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needs to be discussed more in both countries. In case of Mongolia, there is no academic classification system called traditional children´s song. However, it is what classified as Hasibajate(哈斯巴拉特), who is Inner Mongolia's scholar in China, is embodied in the title of work. Even in Korea, it has mainstream as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be embodied in the title of work like the classification system in Mongolia. However, there are additionally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erformer's standard,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spatial concept, and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in children's life.
    Third, there are more simple Korea's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an Mongolia. This is because Korea can be formed children-group culture, by which peer children are flocked together with the settlement-living method. Due to this, a song of children's play can be created.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Mongolia, there are most cases that an adult creates and transmits to children. This is because of particularity, which is possessed by nomadic society of being lived by family unit.
    Consequently, due to difference in the living culture between Korea, which is settlement culture available for being formed the children-group culture, and Mongolia, which is nomadic culture in family unit, the difference in children's culture of traditional society could be confirmed through musical comparison betwee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of both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몽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