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소설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옥루몽>과 <옥선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lay culture of Korean ancient novel - A case of and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2.02
32P 미리보기
고소설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lt;옥루몽&gt;과 &lt;옥선몽&g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24호 / 373 ~ 404페이지
    · 저자명 : 차충환, 김진영

    초록

    본고에서는 고소설 <옥루몽>, <옥선몽> 그리고 기타 몇 작품을 대상으로 고소설에 나타난 놀이문화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고소설에는 당대에 존재했던 많은 놀이들이 등장한다. 그런데 대개의 경우 놀이의 명칭만 등장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놀이와 관련된 간략한 문구만 서술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옥루몽>과 <옥선몽> 등에는 일부 놀이의 장면이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어, 소설 창작 당대의 놀이 모습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고, 또 어떤 경우에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놀이 지식을 보충해 주는 부분도 확인된다. 본고에서 살펴본 놀이는 격구(擊毬), 선유(船遊), 전춘(餞春), 쌍륙(雙六), 낙성연(落成宴)의 놀이들이다. <옥루몽>에는 격구 장면이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격구는 구문(毬門)을 세워두고 공을 치거나 굴려 구문 안으로 공을 넣는 경기이자 놀이인데, <옥루몽>에 서술된 격구는 양 편이 공을 번갈아치면서 공을 땅에 떨어뜨리면 지는 방식의 경기로 서술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옥루몽>이 창작된 19세기 당대에 실제로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옥루몽>은 격구를 남방에서 새끼사자가 자신의 목에 달린 털뭉치를 이용하여 사냥 연습을 한 데서 유래했다고 서술하고 있다. 이 또한 새로운 정보이다.
    선유놀이는 대개 왕족이나 고위 관리, 양반풍류객들, 유흥과 부를 기반으로 한 중간계층 등 주로 남성들에 의해 행해진 놀이였다. 그러나 <옥루몽>에는 여성들도 단독으로 선유놀이를 하는 장면이 제시되어 있다. <옥루몽>에는 전춘놀이의 면모도 매우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전춘놀이는 본래 소년과 기녀들이 주장하는 것이었는데, 근래에는 상하귀천 없이 모든 사람들이 즐긴다는 것, 기녀들이 낮에는 가무를 즐기다가 저녁이면 머리에 꽂은 채화를 물에 던지면서 놀이를 마무리하는 것은 고법이고, 근래에는 남녀 인물들이 각기 인물됨을 품평하여 짝짓기를 한다는 것, 전춘교에서 기녀들이 춤을 추고 노래를 하면서 즐긴다는 것 등이 <옥루몽>에 서술된 전춘놀이의 대략이다. 쌍륙은 많은 고소설 작품에 등장하는 놀이이다. 그러나 대부분 명칭만 등장하는데, <옥루몽>에는 “사”, “놉흔 사” 등 쌍륙을 칠 때 사용하는 용어들이 일부 등장하고 있어, 쌍륙놀이의 현장을 어느 정도 체감할 수 있다. <옥선몽>의 낙성연 장면에서는 갖가지의 연희물과 놀이들이 소개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19세기 당시 솟대장이를 “효장이”로, 꼭두각시놀음을 “골”로 부르기도 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그 외에도 현재로서는 재구하기 힘든 “검질”, “먹국질” 등의 놀이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vestigates play culture of Korean ancient novel. A chief object are <Okroomong(옥루몽)> and <Oksunmong(옥선몽)>. The plays much appear Korean ancient novel. But they was most name of play and brief sentence. But in <Okroomong> and <Oksunmong>, plays appear concretely. So, play forms and new informations get through <Okroomong> and <Oksunmong>.
    This article investigated a kind of polo(擊毬), boating(船遊), springtime play(餞春), a Korean parchisi(雙六), plays of building completion party(落成宴의 놀이) etc. A kind of polo that ball put goal. But a kind of polo of <Okroomong> that in turn hit ball, don’t drop land. This style is play style of Korean 19’s. And by <Okroomong>, a kind of polo is started hunting exercise of lionet. This also is new knowledge on a kind of polo.
    A boating was pass off by royalty, high-ranking officials, Yangban elegant young men, middle-income bracket etc. But in <Okroomong>, women enjoyed boating. This also is new knowledge. In <Okroomong>, a springtime play primary was play of young man and gisaeng[Korean geisha]. But it now become play of entire persons. And gisaeng enjoyed songs and dances day and gisaeng draw flower of hair into river. And young man and gisaeng do mating ritual through each figure valuation. Also gisaeng singing and dancing on bridge. In <Okroomong>, a concrete words of a Korean parchisi appear.
    <Oksunmong> shows several play, for exemple Sotdae(솟대) play, marionette play ete. In <Oksunmong>, Sotdae(솟대) play named “Hyoddaejangyi(효때장이)”, marionette play named “Golddo(골또)”. Except for that, “Palgumjil(팔검질)”, “Mukkugjil(먹국질)” appear. But this can’t k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