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민사회, ‘포스트발전국가론’, ‘동원된 근대화’, 여성주의:‘포스트발전국가론’에 대한 ‘정당하지 못한 비판’과 ‘정당한 비판’ (Civil society, ‘post-developmental state’ theory, ‘mobilized modernization’, feminist critique:unproper and proper critique of the ‘post-developmental state’ theorie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1.06
42P 미리보기
시민사회, ‘포스트발전국가론’, ‘동원된 근대화’, 여성주의:‘포스트발전국가론’에 대한 ‘정당하지 못한 비판’과 ‘정당한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27권 / 2호 / 103 ~ 144페이지
    · 저자명 : 조희연

    초록

    지난 호에 실린 허성우의 ‘포스트 발전국가론과 여성주의적 개입’은 필자의 『동원된 근대화』 책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과 확장지점을 논하는 글이다. 이 글은 두분으로 나뉘어지는데, 첫째는 허성우의 비판을 보다 일반적으로 재설정하여, ‘시민사회 개념의 비(非)서구중심적인 탈식민주의적 재전유는 불가능한가’를 논한다. 둘째는 이를 기초로 하면서 몇가지 지점에서 허성우의 비판을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필자의 시각에서 ‘오독’지점과 잘못된 비판이라고 생각되는 지점들을 지적한다. 먼저 필자는 시민사회 개념에 대해서 ‘과잉보편주의’적 인식과 ‘과잉특수주의’적 인식이 있음을 지적하면서, 시민사회의 합리적 핵심과 그것의 급진적 확장과 해체적 극복의 지점을 지적하였다. 허성우가 ‘국가-사회 내장성 테제’를 통해 주장하는 것이 ‘시민사회의 보수성’이라고 보고, 그람시의 프레임에 기초한 필자의 논의 속에서 이미 그런 점이 상당 부분 내재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나아가 포스트발전국가론과 관련하여, 현단계 국가를 둘러싼 모든 사회과학적 논의들을 다 포스트발전국가론으로 포괄하여 그 내부의 다양한 분화와 차이들을 고려하는 점, 나아가 포스트발전국가론적 논의 내에서의 사실적 차원과 규범적 차원을 혼동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다음으로 기본적으로 박정희 시대 연구서인 필자의 『동원된 근대화』 책을 탈(脫)역사화해서 (포스트)발전국가 일반론의 텍스트로 사용하는 것은 ‘오독(誤讀)’이라는 점을 주장하였다. 나아가, 여성주의적 시각이 여러 측면에서 취약하고 결여되어 있다고 하는 비판에 대해서는 그 부족함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필자는―여성노동자의 착취와 산업전사로의 동원을 주요기제로 하는―개발독재의 반민중성과 반(反)소수자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필자의 노력은 여성주의적 분석과 많은 부분 공통의 지반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헤게모니 균열’이라는 필자의 문제설정은 가부장적 헤게모니와 개발독재국가의 결합, 그 균열 및 여성의 정치적 주체화를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여성주의적 개념일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In the last issue, Hur Songwoo criticized my book, titled ‘Mobilized Modernization’, in her paper, ‘A Feminist Intervention into the Post-Developmental State Theory, and suggested how to supplement it.
    This paper as a rejoinder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tries to reframe her critique to a general issue, that is ‘whether it is possible to re-appropriate the civil society concept from a kind of ’de-colonial’ perspective’, and suggest my argument on it. The second one suggests some points of wrong reading of my book and wrong critique, accepting some points of critique in the affirmative way.
    Concerning the first discussion, I suggested ‘over-universalistic view’ and over-particularistic one of the civil society, and alternative task for radical extension of rational core of the civil society and ‘de-constructivist’ way of it.
    In addition to it, I criticized her in that she is defining different discussions with different empirical focuses and different normative orientations, like anti-neoliberal or pro-neoliberal one, as one homogeneous ‘post/developmental state’ theory.
    In addition, I admitted that my discussion is limited and should be enriched in that it has not fully incorporated the feminist challenge. However, I argued that my new framework of ‘disintegration of hegemony’ could be a feminist one, in that it tries explain such phenomena as combination of the patriarchal hegemony and the developmental state, its disintegration, self-empowered subjectification of women in the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