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時代脫着式鐵製못신 硏究 (Research on the Removable Iron Spik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0.09
32P 미리보기
三國時代脫着式鐵製못신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76호 / 97 ~ 128페이지
    · 저자명 : 강정무

    초록

    철제 유물은 가죽, 목질 등 유기물과 조합되어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 경우 유기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을뿐더러 철기자체도 부식이 심하여 원래의 용도를 파악하기가 다소 어렵다. 때문에 많은 철기들이 이형등자(異形鐙子), 불명철기(鐵明鐵器) 등으로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등자나 불명철기로 보고된 유물 중 탈착식(脫着式) 철제 못신에 주목하여 그 용도를 추정해보는 데 있다. 탈착식 철제 못신은 형태와 착용방식이 현대의 아이젠과 같으며,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큰 기능이다. 무구(武具)로서 전투 시 안정적인 자세 유지, 보루(堡壘) 등 가파른 곳을오를 때, 눈·비가 올 때 등 필요 시 간단히 탈착이 가능한 못신이라 할 수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보이는 스파이크슈즈의 본모습이라 할 수 있으며, 조선시대의 진신은 여기서 진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탈착식 철제 못신은 경산,경주, 고령, 남원, 단양, 서울, 용인, 청원, 중국 요령성, 길림성 등지의 고분·생활·산성유적에서 현재까지 총 18점이확인되었다. 그중 마구로 보고된 고령 지산동(高靈池山洞)과 남원 월산리(南原月山里) 출토품은 등자의 답부병(踏附鋲) 위치와 혁공(革孔)의 크기, 출토 위치를 비교하여 마구가 아니라 탈착식 철제 못신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탈착식 철제 못신은 제작방법에 따라 크게 ㄷ자형과 환형(環形)으로 분류되며, 답부병은 돌기형과 자(刺)형으로 나뉜다. ㄷ자형은 혁공의 형태에 따라 고리형, 소환형, 소공형으로 나뉘고, 답부의 전후 폭에 따라 다시 분류된다. 이러한속성들은 5개의 형식으로 분류되며 각 형식들은 지역성을 보인다. 또한 보고자가 제시한 연대를 참고하면, 환형은2~6세기대 중국 요령성 일대에서 제작되어 한반도 남부까지 전해지며 ㄷ자형은 3세기대부터 한반도에서 제작된다.
    시공간적 분포를 논하기에는 아직 유물의 양이 적다고 할 수 있지만, 지역성이 뚜렷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무기문화 확산 과정의 한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ron artifacts were used in combination with organic materials, such as leather and wood,but their original purpose is difficult to figure out because the organic materials have almost disappeared and the iron itself has been severely corroded. Therefore many iron artifacts have been reported as ‘unidentified iron artif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movable iron spikes, which belong to the category of ‘unidentified iron artifacts’, and to infer their function.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removable iron spikes were the same as crampons, which are used to prevent slipping. They helped maintain a stable position during combat, and were also used in rain and snow or when climbing steep places. They could be easily removed. The original shape of the spike shoes can be observed in the Goguryeo tomb murals, and it is presumed that the jinsin of the Joseon dynasty was derived from the spike shoes of Goguryeo.
    18 removable iron spikes were found at tombs and other sites in Gyeongsan, Gyeongju,Goryeong, Namwon, Danyang, Seoul, Yongin and Cheongwon in Korea and Liáoníng Sheˇng and Jílín Sheˇng in China. The finds from Goryeong Jisandong and Namwon Wolsanri were first considered to be horse equipment, but it was later confirmed that they were gear that was worn,based on the location of the dapbubyung (a spike positioned on the stirrup footstep) of the stirrup, the size of the hyukgong (the holes for the leash), and the context of deposition.
    The removable iron spikes were manufactured to be ‘ㄷ’-shaped or ring-shaped. The dapbubyung can be of the swollen type or the splinter (刺) type. ‘ㄷ’-shaped removable iron spikes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ypes: hooked ring type, ring type and small hole type.
    The dapbubyung can be further classified according to width (3.5cm). Based on these attributes,removable iron spik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different types, with the different types representing different localities. In addition, according to published reports, the ring type was made in Liáoníng Sheˇng around the 2nd~6th centuries and was transmitted to southern Korea.
    The ‘ㄷ’type started to be made from around the 3rd century in Korea.
    The number of artifacts is too small for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to be discussed,but the strong regionality of removable iron spikes provides insight into the spread of the weapon culture of Gogurye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