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질병서사로서의 시 읽기의 가능성-조용미 질병 시편에 나타난 질병서사와 몸-자아의 양상을 중심으로 (Possibility of Reading Poetry as a Narrative of Illness –Focusing on the Narrative of Illness and the Aspects of the Body-Self in Jo Yong-mi’s Poems on Illnes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5.02
22P 미리보기
질병서사로서의 시 읽기의 가능성-조용미 질병 시편에 나타난 질병서사와 몸-자아의 양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9권 / 1호 / 9 ~ 30페이지
    · 저자명 : 김난희

    초록

    질병은 생로병사의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대한 경험이자 인간 삶의 취약함에 대한 성찰적 계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문학의 주요 주제로 자리 잡아 왔으나 질병에 대한 현대의 문학적 연구는 주로 소설과 산문 분야에 치중되어 왔고 시를 통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그러나 각종 질병이 증가하는 현대의 상황에서 아픈 사람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질병을 대하는 새로운 시각과 이를 존재의 실천적 기반으로 삼고자 하는 ‘질병의 윤리학’이라고 한다면, 의학 담론에 압도되어 자신의 질병이 지닌 의미와 목소리를 상실한 사람들이 고통과 치유의 의미를 사유할 수 있는 질병서사로서의 현대시를 읽어내는 연구방법도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긴 세월 동안 만성통증을 앓는 가운데 경험한 통증과 아픈 몸을 통해 드러나는 몸- 자아의 다기(多岐)한 모습을 보여 주는 조용미의 질병 시편을 중심으로 질병서사와 몸-자아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질병서사로서의 시 읽기의 가능성을 탐구해보고자 하였다.
    조용미의 질병 시편은 미학적 성과와 윤리적 실천으로서의 질병서사 역할을 동시에 견인해내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현대 시사에서 보기 드문 질병 시의 사례로 꼽힐 수 있을 것이다. 조용미의 질병 시편에 나타난 질병서사와 몸-자아의 양상은 오랜 기간 동안 아픈 몸과의 대면 속에서 몸과 대척 상태에 놓여 있을 때의 무매개적인 혼돈의 서사와 자신의 몸과 결합함으로써 고통을 수용하고 새로운 몸-자아를 생성해나가는 탐구의 서사를 통해 자신의 질병을 증언해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의 혼돈의 서사와 탐구의 서사는 이분법적으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질병을 살아가는 이야기로 함께 존재해왔다. 조용미의 질병 시편은 고통의 나락 속에서 껍질을 벗어버리고 새롭게 몸-자아를 창조해나가는 언어를 발견함으로써 삶을 지속시켜 온 하나의 시적 실천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llness has been a major theme in literature because it is an essential experience that cannot be missed in the process of birth, aging, illness, and death, and because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fragility of human life.그However, modern literary studies on disease have mainly focused on novels and prose, with studies through poetry being rare. In the modern situation where various diseases are increasing, if what is most important to sick people is a new perspective on dealing with diseases and an ‘ethics of diseases’ that seeks to make this a practical basis for existence, then it seems necessary to read modern poetry as a narrative of diseases that allows people who have lost the meaning and voice of their own diseases, overwhelmed by medical discourse,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pain and healing.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ading poetry as a narrative of illness by examining the aspects of illness narrative and body-self, focusing on the poems of Jo Yong-mi about illness, which show the diverse aspects of the body-self revealed through the pain and the sick body experienced while suffering from chronic pain for a long time.
    Jo Yong-mi’s poems on illness can be considered a rare example of poetry on illness in our contemporary poetry, in that they simultaneously pursue the role of illness narrative as an aesthetic achievement and an ethical practice. The narrative of illness and the aspects of body-self that appear in Jo Yong-mi’s poems on illness can be seen as a testimony to her illness through a narrative of unmediated chaos when confronted with a sick body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in a state of opposition to the body, and a narrative of exploration in which she accepts pain and creates a new body-self by combining with her own body. The narrative of chaos and the narrative of exploration at this time were not dichotomously separated, but coexisted as a story of living with illness. Jo Yong-mi’s poems on illness can be seen as a poetic practice that has continued life by discovering language that sheds the shell in the abyss of pain and creates a new body-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