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명경제와 재생산: 가족계획 사업의 실험적 성격과 연구자원으로서의 몸 (Bioeconomy and Reproduction: The Experimentality of Birth Control Project and Bodies as Resources for Research)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0.11
34P 미리보기
생명경제와 재생산: 가족계획 사업의 실험적 성격과 연구자원으로서의 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과학기술학회
    · 수록지 정보 : 과학기술학연구 / 20권 / 3호 / 31 ~ 64페이지
    · 저자명 : 정연보

    초록

    이 연구는 가족계획사업을 재생산(reproduction)이 기술적, 사회적으로 실험의 대상이 되었던 장으로 바라보면서, 재생산적 신체가 기술발전을 위해 활용될 필요가 있는 가용한 자원으로 부각된 중요한 계기로 검토한다. 당시 좁은 의미의 임상시험 뿐 아니라 다양한 피임기술의 안전성 테스트나 발전 과정, 재생산, 생의료 관련 연구에서 재생산 신체가 이용되면서, 향후 신생식기술과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자원으로서의 몸을 ʻ생명경제(bioeconomy)ʼ와 ʻ생명의 경제화(economization of life)ʼ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해 본다. 생명경제 논의는 미시적 수준에서 생체조직들이 상품화되고 유통되는 경제뿐 아니라 개인이 약물 개발, 기술개발의 실험 대상이 되는현상을 포함한다. 생명경제 분석은 분자화된 측면을 좀 더 강조해오면서, 거시적 차원의 인구중심 개입과 분리된 ʻ새로운ʼ 현상으로 강조되곤 했지만, 이 연구에서는 1960-70년대 가족계획사업 당시 재생산적 신체가 연구자원으로 떠오른 과정을 살펴보면서 인구에 대한 개입, 경제발전에 대한 전망 등 집합적 차원의 담론 및 실천과 생명경제의 부상이 연관되어있음을 보인다.
    머피가 제기한 ʻ생명의 경제화ʼ는 국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생명의 능력에 따라 살 가치가평가되는 가치화의 레짐(regime of valuation)에 주목한다. 생명이 경제의 언어로 계산되고 평가되면서 잉여적 생명으로 여겨지는 취약한 생명들은 더욱 심한 폭력에 노출된다. 이 연구에서는한국에서 피임기술을 포함한 재생산기술의 개발과정에서 실패와 논쟁 등을 살피면서 임상시험대상 및 소비자로서 피임기술을 사용한 여성들도 기술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참여자들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트랜스내셔널 생명의료 연구와 기술발전주의 담론 속에서 이들의 인권이나 건강, 기여는 비가시화되었고 이는 황우석 사건, 임상시험의 산업화와 육성과 같은 비교적 최근의생명경제 현상과 연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birth control project in 1960-70 as a site where reproductive bodies emerged as important resources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At that time, not only clinical trials, but also safety tests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various contraceptive technologies, research related to reproductive technology, and commercialization of reproductive body tissue led to the development of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 and biotechnology later. Theories of bioeconomy has been emphasized as a 'new' phenomenon separated from the population-centered intervention at the macro level, with more emphasis on the molecular aspect.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 rise of bioeconomy is related to collective levels of intervention, such as population policy and expectations of national development by analyzing how the reproductive tissues and bodies emerged as resources for research during the family planning project Beyond describing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process of single-line progression or as an achievement of elite scientists, this study examines failures and controversies in the development of reproductive technology. It highlights the invisible physical labor, embodied knowledge, failures, pain and violence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emphasizes that women who used contraceptive technology as subjects of clinical trials are also important participants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the discours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alism and national economic growth, their human rights, health, and their contributions have become invisible. This is related to the relatively recent bioeconomic phenomena such as Woo-Seok Hwang scandal and the industrialization and promotion of clinical t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과학기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