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의 몸을 바라보는 교사의 변화과정과 즉흥연주로서의 교육과정 실행 (A Teacher’s Perspective Transformation of Children’s Body and its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as Improvisa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4.01
28P 미리보기
유아의 몸을 바라보는 교사의 변화과정과 즉흥연주로서의 교육과정 실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 14권 / 1호 / 65 ~ 92페이지
    · 저자명 : 이지연, 이연선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몸을 지배적인 담론에 갇혀 제대로 바라보지 못했던 연구자 자신을 돌아보며 몸을 다양한 각도와 변화된 시선으로 바라보며 변화되는 연구자의 변화과정과 교육과정을 즉흥연주로서 실행해보는 과정을 탐구하는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부터 1년간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일상의 순간에서 유아의 몸을 바라보며 마주한 다양한 사건과 느낌, 즉흥연주로서 교육과정을 실행하면서 겪었던 경험, 감정들을 사진, 영상, 글로 기록하며 다양한 사건을 토대로 동료 교사, 학습공동체 구성원들과 수시로 의견을 나누고 내용을 분석하며 그 의미를 해석하고 기술한 자기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몸을 새롭게 바라보며 교사의 오래된 고정관념과 습관에 균열이 생기고 딜레마에 빠지며, 이분법적 구도를 해체하기를 시도한다. 또한, 교사가 권력을 내려놓고 유아를 믿고 그들의 다양한 시도를 인정하고 지켜보기 시작하며 유아에게 귀 기울이기, 경청의 페다고지를 실천하게 된다. 즉흥연주로서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여전히 벗어나기를 시도하며 겪는 다양한 경험과 즉흥과 계획이 뒤엉킨 교육과정을 생성하는 과정이 담겨있다. 이는 현장의 교사들이 유아의 몸을 기존에 보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롭게 다시 볼 것을 제안하며 교사의 변화된 시선을 바탕으로 즉흥연주로서 교육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back on the myself, who was trapped in the dominant discourse on the children's body, looked at the body from various angles and changed eyes, and to explore the changing process and curriculum of the teacher(I) as improvisation. This study is a self-study that records various events, feelings, experiences, and emotions encountered while looking at the children's body in everyday moments while living with children for a year from 2021, and experiences and emotions experienced while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s an improvisation in photos, videos, and texts, frequently sharing opinions with fellow teachers and members of the learning community, analyzing the contents, and interpreting and describing their meaning. Through this study, teachers' old stereotypes and habits crack, fall into dilemmas, try to dismantle dichotomous structures, and see children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rough their bodies and acquire and express various experiences with their bodies, and teacher(I) try to de-power, trust children, recognize and watch their various attempts, listen to children, and practice pedagogy of listening. In addition, it creates a curriculum in which improvisation and planning are intertwined, and it contains various experiences and efforts to implement the curriculum as improvisation experienced by trying to escape. This suggests that teachers in the field see the children's body again, breaking away from the way they have seen it before, and provides the possibility to implement the curriculum as an improvisation based on the teacher’s changed gaz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