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장년 조선족 여성 이주노동자의 몸 아픔경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Middle-aged Joseonjok (Korean-Chinese) Women Migrant’s Illness Experienc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4.03
40P 미리보기
중장년 조선족 여성 이주노동자의 몸 아픔경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30권 / 1호 / 213 ~ 252페이지
    · 저자명 : 이해응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내 중장년 조선족 여성 이주노동자의 몸 아픔 현실이 비가시화 되고은폐되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이들은 주로 취약한 법적 지위로인한 심리적 위축과 열악한 노동조건으로 인한 근골격계 통증과 만성질환, 산재사고 등을겪고 있지만, 이것을 이주노동과 긴밀히 연결시켜 이야기하기보다는 과거 생활의 생애적맥락에 위치시킨다. 그들은 식당이나 여관 등 서비스 업종에서 출발해 최종적으로는 개인집에 입주해 가사노동과 돌봄노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런 노동은 근로기준법이 적용되지 않아 산재나 건강보험 제도의 수혜에서 배제된다. 또한 중증 질환이 발견되면 중국으로 귀국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성 이주노동자들의 몸 아픔은 유입국인 한국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자발적’으로 자신의 몸을 혹사하면서 돈을 벌고 있는 것처럼 보여지는까닭에 이들의 아픔은 개인적인 일로 치부된다. 본 논문은 여성 이주노동자들의 몸 아픔현실과 몸 아픔에 대한 ‘모순된’ 이야기가 함의하는 바를 개인의 주체적인 측면과 사회구조적인 측면에서 분석했다. 젠더시각에서 이주노동자 개인들의 자신의 몸 아픔에 대한 주체적 생애이야기와 의미해석을 드러내며 어떻게 ‘자발적’으로 몸을 혹사하면서 몸 아픔을유예하는지를 밝히자 했다. 이들은 이주노동을 돈 벌기 위한 임시노동으로 간주하며, 한국에서 ‘극대화된’ 임노동을 하지만 중, 장기화되는 노동구조 속에서 경제적 문화적 임파워링을 느끼며 돌봄노동 맞춤형의 몸으로 이를 수행한다. 동시에 자기를 돌볼 수 있는 시공간을 유예하며, 중증 질환 및 죽음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이단순히 개별 인간의 욕심으로 인한 과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유입국의 젠더화된 이주・동포정책 및 시장구조, 이주노동이 삶의 패턴으로 체화되는 과정, ‘자발적 노동’이라는 이름으로 노동력 재생산을 위한 일상의 삶의 필요조건들이 삭제되고 모든 책임을 개인 스스로떠맡게 되는 신자유주의 통치성에 있음을 강조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problems that the illness ofmiddle-aged Joseonjok(Korean-Chinese) migrant women is invisible and tend tobe concealed. They are suffering from mental shrinking caused by vulnerablelegal position, muscular skeletal diseases and chronic disease caused by poorworking conditions, furthermore suffering from industrial accident. They don’tmore than speak it closely connected with migrant work, but situated it in thelifecourse context in the past. Most of them started work in restaurant, moteletc like service business, but they work in domestic work and care work inkorea at last. These works didn’t be applied to the Labor Standards Act, sothey were excluded from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surance and healthinsurance system. Also when the serious diseases were discovered, they cameback to China, woman migrant worker’s illness did not to be exposed in Korea.
    they superficially was seen that ‘spontaneously’ overwork themselves tobe making money, so their illness is regarded as personal matter. This paper tryto analyze the implication of illness reality and ‘inconsistent’ story on illness,from personal subject side and structural side. So this study based on viewpointof gender to show migrant workers subject life story and meaningness onillness itself, reveal how they ‘spontaneously’ overwork themselves, how delayillness. The migrant workers regard migrant work as casual labor to makemoney, they work for wage labor in ‘maximization’, but they feel economicaland cultural empowering and fulfill it with the body of customized care, in thelong labor structure. At the same time, they delay space time for caring forthemselves, sometimes even connected with serious disease or death. This studyemphasize neoliberalism reign that these process do not simply lie in overworkcaused by personal greed, but lie in migrant・compatriot policy and marketstructure to be gendered of Korea, the process of migrant work to be embodiedin life style, everyday life conditions to be deleted for reproducting workforce,under taking the responsibility on oneself in the name of ‘spontaneous labou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여성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