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함에 나타난 몸 관찰 수행방법의 순차성 (The Order of Body Observing Meditation in Agam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2.08
23P 미리보기
아함에 나타난 몸 관찰 수행방법의 순차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35호 / 5 ~ 27페이지
    · 저자명 : 강명희

    초록

    아함을 위시한 초기불교의 수행법 내용의 특징 중 하나는 몸을 관찰하는 身念處을 중심으로 기술된다는 점이다. 초기불교는 다양한 수행법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담는 부분은 몸을 위주로 하는 수행방법이었으며, 이는 몸에 대한 관찰 방법이 정확해야만 다른 순차적인 수행이 가능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초기경전에 나타난 몸 관찰 수행법은 몸의 내부를 관찰하는 內身에 국한되지 않고 다음 단계의 4界(또는 6界)와 外身의 시체관찰에 이르러야 완성됨을 밝히는 데에 있으며, 이는 훗날 발전된 5정심의 부정관수행법의 기본 모델이 됨을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인 몸 관찰 방법론은 중아함에 2군데, 잡아함에 1군데, 증일아함에 1군데, 장아함에 1군데에서 언급하고 있고, 팔리문 대념처경에서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경전에 나타난 내용들은 내신관찰의 내용 부분에서 일치하고, 차제적인 수행방법 부분은 약간씩 다르게 나타난다. 대념처경은 중아함의 내용 보다는 오히려 증일아함의 내용과 흡사하게 기술되고, 각각 경전에 나타난 시신관찰의 순차적 내용도 다소 다르게 나타난다.

    영어초록

    One of the features in meditation techniques in early Buddhism which expresses a lot in Agama is an emphasis onobserving the body, Kayanupassana. Even though early Buddhism suggested diverse meditation techniques, it was Kayanupassana that developed detailed instructions for practice. Only after the way of observing the body has been correctly established is meditation possible. This paper reveals that the completion of Kayanupassana lies not only in observing inside the body but also in observing dhatu (elements) and the nine charnel ground contemplations and it becomes the basis of Wu-Ting-Hsin-Kuan and other evolved meditation techniques. The details of the method of Kayanupassana are mentioned twice in Madhyama Agama in Sanskrit, once inSamyukta Agama and Ekottara Agama in Sanskrit, and also in Mahasatipatthana sutta in Dighanikaya in Pali. However, the details a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book one reads.


    Even though They all talk about the order of observing the body, first inside the body, followed by observing the dhatuyo (elements), and finally the nine charnel ground contemplations and have same interpretation of observinginside the body (e.g. organs), techniques in observing elements and orders in the nine charnel ground contemplations are somewhat different between them. For example, Ekottara Agama and the Mahasatipatthana sutta in the Palinese Dighanikaya talk about observing 4 dhatuyo (elements) while Madhyama Agama refers to6 dhatuyo (elements) and the Palinese version of the Mahasatipatthana sutta in Dighanikaya have a different order of the nine charnel ground contemplations compared with Agamas.


    The order of observing the body in the early Buddhism (first inside the body, then the elements (mahabhutani),and finally the nine charnel ground contemplations) was a whole view of Kayanupassana and made a new development called Wu-Ting-Hsin-Kuan. The development of observing inside the body comes to observation ofexternal body, the nine charnel ground contemplations, and the charnel ground contemplations mentioned in Agama can be seen as the basis of the Nine Images Observation which is emphasized in Chinese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