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소로서의 몸과 비환원적 물질성 (The Body as a Place and the Irreducible Material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9.05
23P 미리보기
장소로서의 몸과 비환원적 물질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10권 / 123 ~ 145페이지
    · 저자명 : 이현재

    초록

    여성주의 연구들은 20세기 후반에 이분법을 넘어서 몸을 다시 이론화하고 재고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투입해 왔다. 보부아르가 제시한 바 있듯이 여성은 몸과 마음, 자연과 문화의 이분법적이고 위계적인 사고방식 안에서 몸이자 자연으로 규정되었고 따라서 열등한 것으로 취급되어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여성의 몸을 만회하고 재현할 수 있는 육체성 개념을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재정립하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본 논문에서 몸을 사회적 관계들과 물질적 과정들이 교차하는 어느 정도 단단한 그러나 유동적인 “장소(place)”로 볼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몸에 대한 공간적 접근은 이미 몸을 사회적 관계를 각인하고 있는 “표면”으로 상정하고 있는 푸코 논의 속에서 잘 나타난다. 그러나 푸코는 몸을 법/제도/담론의 효과로 환원하는 가운데 사회적인 관계에 반응하고 저항하는 몸의 물질적 “힘”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설명하지 않았다. 이와 달리 엘리자베스 그로츠는 몸을 뫼비우스의 띠에 비유하면서 사회적 관계나 의미작용의 결과이면서도 이것들로 환원되지 않는 물질성의 심급을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그로츠는 몸이 다층적인 사회관계들이 중첩되고 상호 교차하는 개별적인 위치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몸이 어떻게 자신과 사회관계들을 생산적으로 변화하는가를 설명한다. 그로츠는 몸을 다양한 차원의 물질성과 사회적 관계들이 상호침투하는 지점으로 파악함으로써 이분법과 일원론 모두를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필자는 몸의 비환원적 물질성과 개별적 위치성 그리고 다양한 관계들 속에서의 유동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몸을 “장소”로 개념화하는 것이 유용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몸을 “장소”로 개념화한다는 것은 몸의 비환원적 물질성을 인정한다는 것이며 몸을 여러 스케일의 다층적 사회관계들이 중첩되는 개별적 위치로 파악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개념화에 따르면 몸은 각기 다른 스케일의 장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현현되고 변화하는 지점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렇게 몸을 장소로 이해할 때 여성주의자들은 몸을 자발적인 물질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여성을 수동적 물질성으로 정의하고 이성 혹은 정신의 지배하에 두려했던 이분법적 사고방식을 비판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여성의 몸은 생물학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의 접면이자 교차지점이기에 더 이상 수동적이거나 고정적인 물질이 아니며 오히려 자발적이고 유동적이며 생산적인 상호작용의 힘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영어초록

    Feminist scholarship has been particularly influential in rethinking and retheorizing the body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The decontruction of centrality of the opposition between the mind and the body established in Enlightenment thought has been a key element of this work. Recentl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suggest a non-binary concept of corporeality from a feminist perspective.
    So, in this paper I'll suggest to rethink the body as a "place" in which the irreducible materiality and the sets of social relationships are intersecting. The spatial approach to the body can be seen in the Foucault's works. In oder to overcome the dichotomy He theorized the body as a surface to be inscribed by social practices, suggesting that bodies are acted upon in discursively constructed institutional settings. But he seems to suggest that there are bodies and pleasures that exist outside of power/knowledge discourses, without specifying what these are or their origins. In contrast Elisabeth Grosz introduce the metaphor "Mobius strip" to explain a range of voluntary practices of the body. According to Grosz the body provides a point of mediation between what is perceived as purely internal and accessible only to the subject and what is external and publicly observable. And in process of the explanation of what is internal, she premises the dimension of the irreducible materiality such as th sexual drive or the biological process. But it is not a fixed or passive substance outside the signifying processes, but an open materiality which can be founded and developed in and with them. In addition Grosz argues that the body can provide a unique position, on which the multiple social relations interlock and intersect.
    Finally I'd like to argue that the body needs to be conceptualized as a "place" to explain the irreducible materiality, the unique position and the mutuality of the variety of social relations of body more coherently. To conceptualize the body as a "place" means to acknowledge the irreducible materiality of the body, to regard it as a unique combination of the multiple social relations and to recognize that the body is differently represented in relation to what scale of place it is located in. When feminist scholarship receives this concept of the body, they also can reach the feminist concept of the voluntary body that overcomes the binary concept of the bo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