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거 주체로서의 몸과 근원층으로서의 풍토 (Body as Subject of Dwelling and Climate as Dwelling Basi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5.12
31P 미리보기
주거 주체로서의 몸과 근원층으로서의 풍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학과 현대철학 / 67호 / 35 ~ 65페이지
    · 저자명 : 한정선

    초록

    이 글에서 필자의 관심은 ‘거주한다는 것은 (자연적) 풍토에 닻을 내리는 것이다’ ‘풍토에 닻을 내리는 근원적인 주체는 몸이다’라는 필자의 입장을 현상학적으로 해명하면서 참된 거주의 의미를 사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왜 몸이 삶의 공간에 닻을 내리는 주체인가?’를 화두로 삼고, 몸의 지향적 능력, 신체실존적 상황에 대처하는 몸 도식(body schema), 게슈탈트로서 작동하는 몸, 운동⋅지각⋅정서⋅의미⋅상징⋅행위를 산출하는 몸, ‘현상적 몸’을 논의할 것이다. 몸은 정신 이전에 이미 세계로 나아가 세계를 열고 세계에 의해 열리고, 삶의 공간을 육화시키고, 운동⋅지각⋅정서⋅의미⋅상징⋅행위를 산출한다. 이런 의미에서 몸은 거주 주체(층)이다. 3장에서는 풍토의 개념을 정리하고, 풍토를 체험하는 몸을 기술함으로써, ‘몸이 어떻게 풍토에 닻을 내리는가?’를 해명할 것이다. 4부에서는 참된 거주의 의미를 ‘거주한다는 것은 몸과 건축물을 매개로 풍토에 닻을 내리는 것이다’라는 맥락에서, 거주의 의미를 생명적⋅풍토적⋅신체실존적 가치를 중심으로 논의할 것이다.
    건축의 생명은 건축물을 매개로 우리의 몸이 풍토에 닻을 내리고, 생명적⋅풍토적⋅신체실존적 가치를 누릴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이런 가치들을 잘 매개하고 있는 건축물은 그 스스로도 풍토에 닻을 내리고 풍요롭게 산다. 건축가는 거주자로 하여금 참된 건축물을 매개로 풍토에 닻을 내리고, 풍토와 온 생명을 살리고 사랑할 수 있게 해주는 자이다. 인간과 온 생명의 삶의 터전을, 땅의 면적이나 도시구획 등등의 편협한 물리적⋅경제적⋅도구적 공간 개념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변화하는 지구환경⋅날씨⋅기후⋅땅⋅풍경을 포괄하는 역동적인 생명적⋅풍토적⋅신체실존적 지평에서 이해하는 감수성이 건축가⋅행정가⋅거주자 모두에게 요청된다.
    필자는 인간중심적인 휴머니즘 건축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거주자의 생명력, 도시의 생명력, 지구환경의 생명력을 함께 고민하고, 온 생명을 사랑하는 건축과 주거문화를 창출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것이다.

    영어초록

    My thesis in this paper is to think phenomenologically the meaning of dwelling and discuss that ‘Dwelling anchors in climate’ and ‘The subject anchored in climate is body-subject’. In Chapter 2, I discuss the statement ‘Body is the subject anchored in the life space’, while examining the ability of functional intentionality in body, e.g.
    body dealing with the existential situation, body schema, body working as Gestalt, phenomenal body, and body bringing out motion, perception, emotion, meaning, symbol, and behavior. Body, before we address soul, goes out to the world, opens itself to the world, incarnates life space, and brings out motion, perception, emotion, meaning, symbol, and behavior. In this sense, body is the subject of dwelling. In Chapter 3, I discuss ‘climate’. I address the question ‘How does body anchor in climate?’ and describe the body experiencing climate. In Chapter 4, I discuss the meaning of dwelling with reference to biotic, climatic, and existential values. I argue the meaning of dwelling in the sense that dwelling is to anchor in climate through body-subject and architecture.
    Architecture serves us in our anchoring in climate und enables us to be enriched by biotic, climatic, and existential values. Architecture that imbibes these values is truly anchoring in climate. Architects serve people to anchor in climate and love all living creatures around.
    After all, a kind of sensitivity that respects earthly environments such as landscape, earth, weather, and climate is required for architects, furthermore for officials and managers—for all dwell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