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저리 켐프의 신비주의: 몸으로 체현한 신앙 (Margery Kempe's Mysticism: The Faith Embodied in a Bod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09
42P 미리보기
마저리 켐프의 신비주의: 몸으로 체현한 신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중세사연구 / 48호 / 167 ~ 208페이지
    · 저자명 : 성진희

    초록

    이 글은 14세기 영국 여성 신비주의자 마저리 켐프가 자신의 신앙 활동에서 몸을 어떤 식으로 사용했는지 또 이것이 당시 교회와 성직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서술하고 있다. 초기 그리스도교에서 육체는 대체로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점차 신앙을 고양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여겨지기 시작했고 중세 성기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육체를 이용한 새로운 신앙의 관행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것은 당시 남성들보다 육체적이고 감정적인 존재로 여겨지며, 체계적인 신학에 접할 기회를 거의 얻지 못한 여성들에게 자신들만의 신앙의 관행을 만들 수 있는 계기를 제공했다.
    여성 신앙인들은 극단적인 금욕을 통해 그리스도의 고통을 체험했고 환상 속에서 육체적 감각을 통해 신을 경험했다. 평생을 세속에서 살았던 마저리는 다양한 여성 신앙인들의 글을 읽고 이를 자신의 상황에 적용시켜 나갔고, 그 결과 다른 여성 성인들과 구분되는 마저리만의 독특한 신앙 방식이 나타났다. 마저리는 신에게 다가가기 위해 자신의 몸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인물이었다. 그녀는 오감을 통해 그리스도를 느끼고, 남편과 협상하여 정절의 서약을 맺음으로써 자신의 몸에 대한 권리를 되찾는다. 이를 통해 그리스도의 신부라는 자격을 획득한 마저리는 흰옷을 입어 자신의 새로운 정체성을 세상에 드러내고 있다.
    눈물과 울부짖음은 마저리의 몸을 이용한 신앙의 관행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다. 그녀는 수차례에 걸쳐 수난 받는 그리스도의 고통을 느끼면서 괴로워하고 큰 소리로 울부짖고 몸을 뒤틀었다. 이는 육체를 지닌 그리스도의 고통을 온전히 이해하고 그 고통을 다시 자신의 몸으로 드러내는 것이었고, 성모 마리아의 슬픔을 모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비록 그리스도교 전통에서 눈물이 신의 은총으로 여겨졌고 많은 여성 신앙인들이 그리스도의 수난을 묵상하며 눈물을 흘렸음에도 불구하고, 마저리의 눈물은 그녀가 속한 공동체와 교회로부터 엄청난 비난을 받는다.
    『마저리 켐프 서』에서 마저리는 자신의 눈물이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이해하고 또한 구원에 이르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묘사한다. 그러나 마저리가 말하는 눈물의 기능은 당시 성직자들의 기능과 겹치는 것으로 그들의 역할과 권위를 위협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또한 마저리는 사적인 장소가 아닌 길이나 교회 등 공개적인 장소에서 울부짖음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이 신의 특별한 은총을 받은 자임을 드러내고 있다. 몸을 이용한 마저리의 신앙 방식은 그녀의 적극적이고 대담한 성격과 결합되면서 남성중심적인 공동체와 교회에 거부감을 주었고 결국 신앙인으로서의 마저리가 가지는 특징과 『마저리 켐프 서』가 가지는 성인 전기로서의 의미를 쇠퇴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scribes how Margery Kempe, a 14th-century British female mystic, used the body in her religious activity and how it affected the church and clergy of her time. In early Christianity, the body was generally perceived as negative, but gradually it began to be regarded as a means of enhancing faith. Entering the High Middle Ages, a new religious practice of using body began to be created. This gave women who were considered more physical and emotional than men at the time and had little opportunity to encounter organized theology a chance to create their own practices of faith.
    Medieval holy Women felt God through their physical senses in a vision and experienced the pain of Christ through extreme abstinence. Margery was familiar with these religious practices because she read many holy women's texts. As spending her whole life in the secular world, she applied these to her own situation. As a result, Margery's unique way of faith emerged, distinguished from other female saints. Margery actively used her own body to reach God. She felt Christ through her five senses, negotiated with her husband to make a vow of chastity, and reclaimed her right to her own body. Margery, who was qualified as the Bride of Christ through that, revealed her own new identity to the world by wearing her white clothes.
    Tears and cries are the most prominent parts of Margery's religious practice of using the body. She felt the pain of the Crucifixion on several occasions, agonizing, crying out loud, and twisting her body. This was to fully comprehend the suffering of her Christ in the flesh, reveal it again in her own body, and imitate the sorrows of the Virgin Mary. However, although tears were viewed as a divine gift in Christian tradition and many holy women shed tears in contemplation of the Passion of Christ, Margery's tears came under heavy condemnation from her community and church.
    In The Book of Margery Kempe, Margery describes her tears as helping people understand Christ and come to salvation. However, the function of tears that Margery said overlapped with that of the clergy, and was sufficient to threaten their role and authority. Also, Margery revealed to many people that she was a special recipient of God's favor by screaming in public places, such as roads and churches, rather than in private places. Margery's religious practices of using her body combined with her active and bold personality hence she was rejected by male-dominated community and church. In the end, Margery's characteristics as holy women and the meaning of The Book of Margery Kempe as a hagiography have decl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