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몸짓의 꿈’: 홍상수 영화 <자유의 언덕>에서내레이션과 꿈, 몸짓의 관계에 대한 고찰-아감벤의 「몸짓에 관한 노트」에 비추어- (‘The Dream of a Gesture’: Giorgio Agamben’s “Notes on Gesture” and Hong Sang-Soo’s Film Hill of Freedo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4.11
27P 미리보기
‘몸짓의 꿈’: 홍상수 영화 &lt;자유의 언덕&gt;에서내레이션과 꿈, 몸짓의 관계에 대한 고찰-아감벤의 「몸짓에 관한 노트」에 비추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0권 / 3호 / 241 ~ 267페이지
    · 저자명 : 최수임

    초록

    홍상수 영화 <자유의 언덕>에서 내레이션은 영화 속 세계의 리얼리티의 성질을 새롭게 만든다. 이 작용은 어떻게 일어나며, 이에 대하여 영화론적으로 어떠한 고찰이 가능할까? 이 논문은 <자유의 언덕>에서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이 행하는 기능을 분석하고 사유한다.
    조르조 아감벤은 영화 매체에 관한 글 「몸짓에 관한 노트」에서 “영화의 요소는 몸짓이지 이미지가 아니다”라는 테제를 제시하면서 영화 이미지가 진동하는 두 가지 “이율배반적인 극성”을 논한다. 몸짓을 사물화해의지적 기억 속에 잡아 “마술적 고립”속에 담아두는 성질, 그리고 몸짓의 잠재력을 보존하면서 비자발적 기억이 현현하게 하는 “번쩍이는 이미지”로서의 성질이 그것이다. 이 두 속성은 <자유의 언덕>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며, ‘몸짓’과 ‘내레이션’, 그리고 ‘꿈’은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고있을까? 이 글은 아감벤이 영화에 관해 쓴 글에서 <자유의 언덕>의 고찰에 흥미로운 단초를 제공하는 지점들을 포착해 이 영화를 그에 비추어논한다. 그를 통해 <자유의 언덕>의 보이스-오버 내레이션과 ‘쓰기’ 및‘텍스트’의 관계와 작용, 그리고 이 영화가 지닌, 지극히 사실적이면서도동시에 꿈과 같이 모호한, 독특한 (비)리얼리티의 바탕을 ‘몸짓’과 ‘꿈’의개념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조르조 아감벤의 ‘몸짓으로서의 영화’에 관한 논의를 생각할 때, 홍상수의 <자유의 언덕>은 ‘몸짓의 꿈’을 지향하는 영화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서술자 역할을 하는 캐릭터-내레이터의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은 관객을 의지적 기억의 재현으로부터 비자발적 기억의 현현으로 그리고 끝내 언어활동으로서의 내레이션 자신을 무화시키며 ‘몸짓의 나라’로 보내기 위한 장치의 역할을 한다. 홍상수의 영화가 지속적으로 시도하는 내러티브적 실험은 내러티브를 정교화하기 위한 것이기보다는 오히려 영화를 내러티브로부터, 즉 이야기로부터 해방시켜 ‘몸짓의 예술’로 만들고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 영화 <자유의 언덕>은 추억으로 굳어진마술적 고립의 이야기이기보다는, 기억을 유동적으로 뒤섞고 빠뜨리고 새롭게 씀으로써 사실과 상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흐트러뜨리는 가운데 이야기/기억 자체가 무화되고, 비로소 마치 꿈에서처럼 비자발적으로 풀려나오는 몸짓들이 전시되는 매체에 가깝다. 그 속에서 이 영화가 담아내는 ‘몸짓’들은 단순히 재현된 사실이나 이야기에 담긴 리얼리티가 아닌,사실/비사실, 기억/비기억의 경계를 무화하며 삶 그 자체를 담아내는,존재론적 질감을 지닌 새로운 종류의 (비-)리얼리티를 가진 것으로 감지된다.

    영어초록

    This essa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voice-over narration, dream andgesture in Hong Sang-Soo’s film Hill of Freedom (South Korea, 2014) from theperspective of the thought of cinema by Giorgio Agamben. Agamben argues that‘the element of cinema is gesture and not image’ and every image ‘is animatedby an antinomic polarity: on the one hand, images are the reification andobliteration of a gesture; on the other hand, they preserve the dynamis intact.’(Agamben, “Notes on Gesture”, Means Without End: Notes on Politics, p.56.)The main question about the examination of Hill of Freedom in light of thisthought of cinema is which aspect of the two this film realizes more strongly:Is it the film of gesture or that of image?This question is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voice-over narration in thisfilm. In this essay, the narrator, Mori, plays an important role to determine thetexture of the (non-)reality of the (re)presented events in the film. Are theyrepresented as caught in the memory of the character, or as liberated from thememory and presented like the events in dreams? Are the gestures in this film,finally, even from the dream and the narration as linguistic activity, liberated?Agamben’s thought of cinema is a sort of ‘media-biopolitics’, which sees gestureas ‘intersection between life and art, act and power, general and particular, text andexecution.’ (Agamben, “Marginal Notes on Commentaries on the Society of theSpectacle”, Means Without End, p. 80.) From this perspective, this essay analyzes thepossibilities of the ‘gesture’ in the contemporary film by Hong Sang-Soo, who has sought to present the human gestures with the cinematic dispositif as ‘dream ofges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