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타자화된 몸에서 생명의 몸으로: 아가의 몸 이미지를 중심으로 (From the Othered Body to the Living Body: Centering the Body Images in the Song of Song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3.09
26P 미리보기
타자화된 몸에서 생명의 몸으로: 아가의 몸 이미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약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약논단 / 19권 / 3호 / 152 ~ 177페이지
    · 저자명 : 박지은

    초록

    이 논문은 외모가 자본인 사회에서 아가에 등장하는 여자의 몸 이미지들을 ‘기괴하다’고 보는 피오나 블랙(Fiona Black)의 논의를 재검토하여, 여자의 몸을 묘사하는데 사용된 동, 식물이나 건축물 이미지는 고대세계에서 여자 몸의 기괴함보다는 자부심을 드러내는 몸이라는 주장을 통해 현 사회의 다양한 몸들을 편견 없는 시선으로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examines our perception of body images of ourselves and others in current society where physical appearance is capitalized and commercializ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body images in the Song of Songs. The human body, which was inferior to the human mind under the Greek dichotomous mind/body scheme, has been revalued and harmonized with the mind by modern Western discourse. However, particular human bodies, along with an over-emphasis on the human body in general, have been considered superior and more beautiful according to a standard set by a certain group of people in our society. As a result, some, particularly those who have bodies that do not fit this standard, are alienated and risk their lives to reshape their bodies through plastic surgery. Women's bodies, rather than men's, are more exposed to suffering from these social expectations and standards. Women's bodies are usually described negatively in the Hebrew Bible as well. However, women's body images in the Song of Songs represent the natural female body rather than embodying social prejudice. Even though women's body images in the Song of Songs may be viewed as grotesque, as Fiona Black suggests, this argument overlooks the question of whose perspective is being reflected. In other words, the distinction between ugly/grotesque and beautiful or between normal and abnormal reflects a social perspective that has been naturalized by a particular discourse. Accordingly, the article tries to generate an unbiased perspective, perceiving the bodies of ourselves and others as they are, without evaluating and judging them through social/othering eyes or distorted ey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