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화심리학에 기반한 복합쇼핑몰의 유희적 요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ntertainment Elements of a Complex Shopping Mall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2.10
14P 미리보기
진화심리학에 기반한 복합쇼핑몰의 유희적 요소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7권 / 7호 / 249 ~ 262페이지
    · 저자명 : 윤다미, 조택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사회의 전반적 변화에 따라 쇼핑몰의 유희적 가치가 요구되며 쇼핑과 유희가 복합된 복합쇼핑몰의 개념이등장했다. 이에 따라 쇼핑 활동은 현대인들의 주된 여가 활동이 되었으며, 복합쇼핑몰은 공간의 유희성을 통해 쇼핑객을 유입하는 전략에 이르게 되었다. 하지만 복합쇼핑몰은 인간의 유희에 대한 인지만으로 이루어져 유희성 제공의 한계성을 가진다. 이에본 연구는 진화심리학을 기반으로 인식의 확장을 통해 인간의 본능을 자극하는 매력적인 복합쇼핑몰의 유희적 요소를 제안하는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복합쇼핑몰의 유희적 공간으로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에 따른 쇼핑객의 공간 유희 행동 양상을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한다. 둘째, 진화심리학의 이론 및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인간의 탐색 활동에 대한 본능적 유희와 자연형상 발생 구조에 대한 선험적 미의식의 인지구조를 유희적 요소로 도출할 논거를 구축한다. 셋째, 논거를 통해 인간의 선험적 호감 기제를 초정상자극과 정점이동의 구조를 통해 홍적세의 감성을 가진 인간의 유희를 복합쇼핑몰의 유희적 요소로도출한다. (결과) 진화심리학을 기반으로 인식을 통해 도출한 유희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식을 통해 발견한 탐색이 가진유희성을 근거로 탐색이라는 인간의 본능적 유희 활동이 내재된 공원의 유희적 요소와 쇼핑몰의 유희적 가치를 결합하여 탐색에대한 유희를 강화하며 이는 곧 공간에서의 유희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둘째, 탐색 활동에서 나타나는 성적 이형성을 홍적세의 수렵자의 감성을 가진 남성의 추적본능과 채집자의 감성을 가진 여성의 자원 탐색자의 본능을 중심으로 성적 이형성에 따른 유희요소를 제공한다. 셋째, 인간의 자연형상 발생 구조에 대한 선험적 미의식의 아름다움으로써의 유희적 자극을 강화하는 정점이동 효과를 덧댄 생체구조 모방디자인을 조형적 유희 요소로 제안하였다. (결론) 유희에 대한 진화심리학의 접근으로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인식의 구조로 확장하여 인간의 본능에 내제된 유희를 공간과 행동 그리고 조형적 측면의 3가지 유희적 요소로 도출했다. 본 연구는 공간의 유희를 다룬 기존의 연구에서 접근하지 않았던 새로운 관점인 진화적 관점을 통해 인간 본질을이해하고 이를 인식의 구조로 확장하여 유희적 요소를 제안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가 제시한 진화심리학 기반의논거가 다소 한정적이기 때문에, 향후 더 다양한 진화심리학적 논거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cept of a complex shopping mall combining shopping and entertainment emerged from the demand for a shopping mall to have entertainment value following the general shift in society. Accordingly, currently, shopping has become a major leisure activity for people, and complex shopping malls have employed the strategy of attracting shoppers through the entertainment space. However, complex shopping malls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entertainment as they are based solely on the cognition of what entertains shopp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entertainment elements for complex shopping malls that stimulate shoppers’ instincts through recognition expansion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Method) First, extant studie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complex shopping malls’ paradigm shift to an entertainment space and to reveal shoppers’ behaviors. Second, based on theoretical and precedent studies on evolutionary psychology, an argument was constructed to deduce fun factors through humans’ instincts of fun leaning toward exploration activities and their cognitive structure of aesthetic consciousness leaning toward natural shape generation structure. Third, based on the constructed argument, human entertainment activities with Pleistocene sensibility were derived as the entertainment element of shopping complexes through the structure of supernormal stimulus and peak shift from humans’ transcendental liking mechanism. (Results) The entertainment elements derived through recognition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entertainment of exploration discovered by recogni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entertainment of exploration can be reinforc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entertainment elements of parks and the entertainment value of shopping that contains the instinctive entertainment activity of human exploration, which leads to the expansion of entertainment. Second, shopping complexes can provide entertainment elements according to sexual dimorphism, focusing on the instinct of a male resource seeker with the sensibility of a Pleistocene forager and a female resource seeker with the sensibility of a collector. Third, a biostructure mimicry design with a peak shift effect that enhances entertainment stimulation as the beauty of transcendental aesthetic sense for the natural shape generation structure of humans was proposed as a formative entertainment element of shopping complexes.
    (Conclusions) Seeking entertainment is inherent in human instincts; this study derives three types of entertainment elements for shopping complexes: space, behavior, and formative aspects,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human beings through the approach of evolutionary psychology to entertainment and extending it to the recognition framework. This study is significant regarding understanding human essence through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dealing with spatial entertainment, a new perspective not yet utilized in previous research, and proposing an entertainment element in shopping complexes by extending it to the recognition framework. However, the evolutionary theory argument provided in this study is rather limited. Therefore, more diverse evolutionary theoretical argu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