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염상섭·김동인 논쟁과 坪內逍遙ㆍ森鴎外의 몰이상 논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guements between Yeom Sang-sup and Kim Dong-in, Syoyo and Ogai)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8.12
22P 미리보기
염상섭·김동인 논쟁과 坪內逍遙ㆍ森鴎外의 몰이상 논쟁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39호 / 183 ~ 204페이지
    · 저자명 : 김도경

    초록

    메이지 26년 쇼요와 오가이 사이에 일어났던 몰이상 논쟁과 1920년의 염상섭·김동인 논쟁은 각국의 문학사에서 매우 유사한 평가를 받고 있다. 즉 별다른 의미나 소득이 없는 설전, 요란하기만 했던 실속 없는 논쟁이라는 것인데, 이는 각 논쟁이 발생한 시점과 논쟁에 참여한 작가들이 각국의 문학사상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고려할 때 다소 의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논쟁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산발적인 차이를 대립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또한 공통적인 어떤 전제를 요하게 된다. 쇼요와 오가이, 김동인과 염상섭이 동시에 수긍하고 있었던 어떤 공통적인 전제는 바로 문학과 문학자 그 자체의 지위였다. 일반 독자들보다 작품을 잘 이해할 수 있는 문학자는 독자들을 이끄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 이들 모두가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부분이었으며, 이러한 논쟁의 전제는 곧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하기 힘든 고상한 문학과 문학자의 공간을 선명한 것으로 만드는 역할을 하게 된다.
    몰이상 논쟁과 김동인·염상섭 논쟁에서는 비평가가 작품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 이상 즉 작품의 가치를 감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느냐가 문제시되는데, 이 문제에 대해 쇼요와 김동인의 입장과 오가이와 염상섭의 입장은 비교적 유사하게 드러나고 있다. 오가이와 염상섭은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매우 당연한 것으로 인식했으며, 쇼요와 김동인은 그렇지 않았다. 쇼요와 김동인은 작품을 비평할 때, 자신을 내려놓고 작가의 의도에 맞춰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 비평가의 역할이라고 주장했으나, 오가이와 염상섭에게 자신 혹은 근대적 자아라는 것은 이미 작가의 의도에 맞춰 내려놓거나 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었으며, 모든 것의 평가 기준이 되는 확고부동한 한 점이었다. 모든 경험을 검증하는 하나의 점, 즉 근대적 자아를 통해 개별 작품의 가치는 평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비평의 역할과 가치를 둘러싼 몰이상 논쟁과 김동인·염상섭 사이의 논쟁은 비평의 표준이 변화된 계기라기보다는 표준이라는 것 자체가 성립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표준이란 선험이며 자기동일적인 자아였다. 염상섭이 근대의 본질이라고 보았던 자아는 경험
    이전에 존재하는 것으로, 경험을 규정하고 모든 것의 표준이 되는 것이었다. 오가이나 염상섭은 이러한 표준을 가지고 작품을 평가하고 이를 계층화하였으며, 또한 그럼으로써 근대적 문단이라는 균질적인 공간을 형성해갔다. 현재에 와서 쇼요나 김동인의 비평관이 다소 억지스럽거나 혹은 이질적으로 비치는 것은 이들이 근대적 원근법의 체계와 그것의 중심이 되는 확고불변한 표준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근대 문학의 형성 과정에서 일어났던 이 두 논쟁을 통해 애매하고 불확실한 기의를 가지고 있던 기표들이 근대적으로 정돈되어 갔으며, 이 과정을 통해 균질적 공간으로서의 문단과 다양한 개별 작품을 감정하는 표준으로서의 자아라는 것은 명징한 것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이 논쟁은 이미 있었던 비평이라는 것에 대한 양방의 견해 차이를 드러낸 것이 아니라, 근대적 비평 더 나아가서는 근대적 문학이라는 것의 자리를 만들고 그것을 공적인 것으로 확립하는 기능을 하였다.

    영어초록

    The arguments between and Ogai and Syoyo, Kim Dong-in and Yeom Sang-sup both have been estimated very famous but being useless. When we consider the time which the arguments is happened and the whose fame participated in it, these estimation might be said an unexpected matter.
    The arguments which deal in role and value of literary criticism is a point that the standard of criticism is formed rather than a chance that it is changed. The standard of criticism is transcendental self-identical self. The self which Yeom saw as essence of modernity is exist before experienced and judges all of experience. Ogai and Yeom criticized and stratified literary works with the standard. With this, they had formated modern literary circles as homogeneous space and Literary signifiant which have vague uncertain signifie had been ordered modernly.
    Ultimately these two arguments made places of modern literary and established it rather than a manifestation of contrary views about literacy which have already existed. But, after the literary circles were formed and literacy and literary criticism became being worthy of risk one’s life, their origin should be concealed for their original autho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