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리-호제 몬잰의 이미지 경제론에 대한 비판적 소고 (Critical Reflection on Marie-José Mondzain’s theory of Image and Econom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02
28P 미리보기
마리-호제 몬잰의 이미지 경제론에 대한 비판적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과이론 / 26권 / 1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김순배

    초록

    마리-호제 몬잰의 이미지와 아이콘, 그리고 이코노미 이론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중세 비잔틴 시대 성상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부여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21세기 4차 산업혁명시대, 디지털 시대, 기술 혁신의 시대, 그리고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지나면서 오프라인 공간 뿐 아니라 온라인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가 출몰하며 ‘시민’들과 지속적인 힘겨루기를 이어가고 있다. 이렇게 이미지는 여전히 권의 문제 즉 권력, 권위의 문제와 직결되는 정치적 관계구조 안에서 그 존재론적 생명력을 견지한다. 몬잰의 이코노미 이론은 이미지를 ‘신앙’하며 살아가는 시대에 요구되는 비판적 사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그의 이미지와 이코노미 이론은 아이콘 즉 성상을 매개로 한 중세적, 종교적 논리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비잔틴 시대 성상 타파주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기안된 이코노미 이론은 세계를 관리하고 경영하는 보편적 시각정치 수립과 연동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몬잰의 이코노미는 그 어원적 개념인 “오이코노미아”가 담고 있는 가족 혹은 지역 공동체뿐 아니라 전 지구적 관리와 경영의 문제까지 포괄하는 원리에 대한 철학적 이론적 성찰이다. 그리고 이코노미는 중세 기독교의 교회적 원리의 핵심을 담고 있을 뿐 아니라 그 개념이 점차 세속화 되어 가면서 경제와 교육, 예술, 그리고 정치의 영역으로 확장되기에 이른다. 이를 통해 그의 이론은 권이 작동하는 존재론적 원리로서 이미지 형식과 이코노미를 재고하도록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국내에서 몬잰의 이미지, 아이콘, 이코노미 개념에 대한 비판적 성찰은 전무했다. 이에 본고는 몬잰의 이미지 연구에 대한 의미 있는 시론을 지향하며 이미지와 권의 관계가 만들어 내는 인간 존재 공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는 기획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is to critically examine Marie-José Mondzain’s theory of image and icon that has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our contemporary study of visual media and related philosophy of politics. Her discourse on iconography of the Byzantine Empire mainly focuses on the iconoclastic controversies emerged between the imperial power and the ecclesiastical counterpart, explicating how the political polemic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odern understanding of images and their political implications. In the iconodulistic refutation against the iconoclasts, the concept of “economy” is broached as the practical dimension of theological doctrine for the medieval icons, particularly those of the Virgin and the Son. The notion manifests the spatial relationality between the divine image of the invisible and the incorporated icon of the visible and temporal world. In other words, the divine incarnation as the fundamental doctrine of the Medieval Christianity is economically administered and managed through the icons, creating interactive space between the image and the spectator. And thereby the power and authority of the ecclesiastical are established via the enigmatic relationships propagated by the economy of the icon. In so doing, Mondzain contends that the economy around the Medieval iconography is still operated in its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spectators, which emphatically reflects the very principles of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engineered by the political systems and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in our contemporary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과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