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빠알리어 동사어간을 만드는 활용문자에 관한 연구 _『목갈라나 문법』과 『깟짜야나 문법』의 규칙을 중심으로_ (A Study of Conjugational Sign(Vikaraṇa) in Pāli Grammar with reference to Moggallāna-Vyākaraṇa and Kaccāyana-Vyākaraṇ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04
33P 미리보기
빠알리어 동사어간을 만드는 활용문자에 관한 연구 _『목갈라나 문법』과 『깟짜야나 문법』의 규칙을 중심으로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61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김서리

    초록

    본고는 빠알리어 능동동사의 어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시에 빠알리어 동사어근의 분류와도 직결되는 접미사(활용문자)에 관해 『깟짜야나 문법(KV)』과 『목갈라나 문법(MV)』 규칙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먼저 KV와 MV에서 활용문자를 어떤 용어로 제시하는지 살펴본 후, 활용문자와 관련된 KV와 MV 규칙의 개요를 제시한다. 그런 다음, 규칙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KV와 MV가 제시하는 어근군에 따른 활용문자와 활용변화를 살펴본다.
    KV는 접미사를 통칭하는 빳짜야(paccaya)라는 용어로 활용문자를 지칭하는 반면, MV는 활용문자에 대한 용어 없이 규칙을 전개하는데 드물게 위까라나(vikaraṇa)라는 용어로 활용문자를 지칭한다.
    KV는 8개의 어근군과 13개의 활용문자를 제시하고, MV는 9개의 어근군과 지시문자가 부착된, 9개의 활용문자를 제시한다. KV와 MV가 제시하는 어근군과 활용문자는 그 수와 형태에 있어서 표면적으로 차이가 있는데, 동일한 활용문자에 대해 어근을 분류하는 기준이 다르거나 활용문자에 대한 기술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어간 형성과정의 차이를 가져오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KV와 MV는 한 어근에 대해서 동일한 동사어간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모든 어근이 하나의 활용문자만 갖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어근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활용문자가 결합될 수 있고 각기 다른 활용을 거쳐 하나 이상의 동사어간들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conjugational sign in Pāli grammar focused on the grammatical rules of Kaccāyana-vyākaraṇa(KV) and Moggallāna-vyākaraṇa(MV).
    The verbal base(or stem) is the root with its conjugational sign combined. The conjugational sign is inserted between the root and the verbal termination, or between the last vowel and the following consonant of the root. The root does not have only one conjugational sign; one or more conjugational signs can be attached to one root, and one or more bases can be made through different conjugations.
    KV uses the term paccaya for the conjugational sign in the sense of a suffix. KV presents thirteen conjugational signs for the eight groups of the roots in KV 447-454. The condition of ‘kattari(in the active voice)’ governs these rules. KV presents conjugational signs together with those respective groups of roots as follows: a for the roots √bhū etc.; a preceded by niggahīta(ṃ) for the roots √rudh etc.; ya for the roots √div etc.; ṇu, ṇā, uṇā for the roots √su etc.; nā for the roots √ki etc.; ppa, ṇhā for the roots √gah etc.; o, yira for the roots √tan etc.; ṇe(e), ṇaya(aya) for the roots √cur etc.
    MV does not use any special term for the conjugational sign regularly, but the term vikaraṇa appears in rare places in MV. MV presents nine conjugational signs with indicatory letter(anubandha) attached, in MV 5.15, 18-19, 21-26. The condition of ‘aparokkhesu kattuvihitamānantatyādisu(in the active voice, when the suffixes of all the tenses and moods except the perfect tense follow, or the suffixes of the present participles follow)’ governs these rules. MV presents conjugational signs together with those respective groups of roots as follows: general conjugational sign la(l is an indication letter and a is the actual suffix here); ṇi(i) for the roots √cur etc.; la(a) preceded by maṃ(ṃ) for the roots √rudh etc.; yak(ya) for the roots √div etc.; ka(a) for the roots √tud etc.; knā(nā) for the roots √ji etc.; kṇā(ṇā) for the roots √ki etc.; kṇo(ṇo) for the roots √su etc.; ok(o) for the roots √tan etc.
    Some roots-groups and the conjugational signs presented by the rules of KV and MV are superficially different in number and form. The difference comes from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roots for the respective conjugational sign or for the description of the conjugational signs. This point brings the different process of forming the verbal bases along with the various rules of KV and MV. Nevertheless, it is noteworthy that KV and MV form the same verbal base for one roo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