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영국, 중국 주요 대중음악 학과의 교육환경 비교분석 연구: 교원 전문성, 교육 수월성, 교과목 다양성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 Environment of Major Popular Music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China: Base on the Rate of Teacher recruitment, Educational facilitie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1.06
19P 미리보기
미국, 영국, 중국 주요 대중음악 학과의 교육환경 비교분석 연구: 교원 전문성, 교육 수월성, 교과목 다양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19권 / 2호 / 237 ~ 255페이지
    · 저자명 : 리닝, 한경훈

    초록

    20세기에 이르러 대중음악은 전 세계 음악 시장의 주요 흥행 요소가 되면서 음악 교육에 있어서도 대중음 악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대학에서의 대중음악 교육은 팝음악의 상업화를 주도한 미국을 중심으로 번창하기 시작했으며, 팝음악 역사에 있어 중요한 부흥을 이끈 영국 또한 대중음악 교육의 선도국가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세계의 대중음악 시장은 급속한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에 중국 또한 대중음악 교육 의 개척과 발전에 많은 노력과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많은 선행연구가 존재하는 한국 대중음악 교육 연구에 비해 아직까지 조사된 사례가 없는 미국, 영국, 중국 주요 대학의 대중음악 교육환경을 교원 충원 율, 교육시설, 개설 교과목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주요국의 대중음악 교육 동향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로 각 국가의 교원 전문성, 교육 수월성, 교과목 다양성의 장단점 등 여러 시사점을 도 출하였다. 교원 전문성의 경우, 미국과 영국은 중국의 대중음악 학과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교원 충원율과 전임 교원 비율에도 불구하고 교원의 전문성은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교육 수월성의 경우, 영국은 첨 단기술 교육을, 미국은 공연 실무 교육을, 그리고 중국은 개인의 역량 강화 교육을 위한 수월성 제고에 교육환 경을 집중하는 경향을 띠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교과목 다양성의 경우, 중국이 미국과 영국의 대중음악 학과 보다 교과목 수가 현저히 부족하며 특히 음악경영 등 진로와 취업에 관련된 교과목이 취약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중음악 교육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After the 20th century, popular music is occupied an important place in the world music industry. In music education, the importance of popular music education also become prominent gradually. The United States dominates the commercialization of popular music as a centre of collegiate popular music education development. The United Kingdom, which has always been a trendsetter in popular music, is also considered one of the leading countries in popular music education. In recent years, the world's popular music market environment continues to change rapidly. China has also invested a lot of efforts and investment in popular music education development toward this vari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popular music in major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China, which have not been investigated yet compared to the Korean pop music educa- tion studies in which many previous studies exist, focusing on the rate of teacher recruitment, educa- tional facilities, and courses offered. And by comparing these, the emphasis was placed on grasping the trends of popular music education in major countri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ajor coun- try's popular music departments, in terms of teacher-student ratio, teaching facilities, curriculum setting, and many enlightenment points, are obtained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In the teacher-student ratio, the teacher-student ratio of full-time faculty in the popular music depart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is lower than in China. However, they are more outstanding in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tend to focus on high technology facilities construction and performance facilities construction differently, while China tends to invest in individual practice facilities. In the curriculum setting, compared with the popu- lar music departm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China is insufficient in the number of curriculum and lacks music management-related cours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uts forward som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opular music education fin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