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안반도(무안군, 목포시)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식을 통한 치유농업의 장기적 운영관리방안 (A Long-term Management Plan of Care Farming through Employees’ Perceptions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on the Muan Peninsula(Muan-gun and Mokpo-si))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3.04
17P 미리보기
무안반도(무안군, 목포시)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식을 통한 치유농업의 장기적 운영관리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5권 / 1호 / 169 ~ 185페이지
    · 저자명 : 조민영, 남진보, 정남식

    초록

    인간과 환경에 긍정성을 전달하는 식물을 매개체로 하는 활동이 2000년대 이후,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긍정성을 전달하는 치유농업에 관한 기존 연구는 이를 증명한다. 더욱이, 국내가 고령화 시대로 빠르게 진입되고 있어 고령자들의 건강 증진 활동에 보다 관심을 가져할 시기이기에 치유농업은 대안으로서 상당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치유농업의 상당한 긍정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치유농업 조성 후 지속적 관리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더하여, 일반적인 유지관리 뿐만 아니라 운영관리에 대한 지속가능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치유농업의 긍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의 운영관리를 위해 무안군과 목포시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종사자들의 인식을 이해와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텍스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빈도수 분석, N-gram 분석, TF-IDF 분석, 연결 중심성 분석,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사자들은 치유농업의 장기 운영관리를 위해 이해관계자 참여를 통한 파트너십, 둘째, 커뮤니티 중심의 유지관리의 지속성이 제기하는 커뮤니티 활성화, 셋째, 전문인력 확보를 통한 재원마련의 필연성, 넷째, 치유농업사와 같은 치유농업 전문 인력의 운영관리 참여, 다섯째,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 참여를 바탕으로 재원마련과 파트너쉽의 활성화의 필요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의 도출은 매트릭스 분석에서의 상관성에서도 유의미한 정(+)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 참여와 적극적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거버넌스형 유지관리, 공공 및 민간 참여 파트너십 구축을 통한 재원마련 및 거버넌스 확대, 정책을 중심으로 하는 거버넌스, 파트너십, 재원마련을 정합한 통합형 계획의 관련법안에 적용의 시사점을 제시한다. 노인여가복지시설에서 치유농업의 긍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기적 관점에서의 운영관리는 거버넌스, 파트너십, 재원마련의 필요성과 이들이 정합된 정책반영의 선행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시사점 전달과 이행은 향후 치유농업에 대한 긍정성을 확대하는데 기반이 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치유농업을 보다 활성화하며, 지속가능함을 통해 인간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 특히 고령화 시대에 고령층의 건강에 보다 적극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re have been increasing interests in vegetation-based activities since the late 2000s which deliver positive impacts on both humans and the wider environment. In particular previous studies have provided a lot of care farming-related evidence that harnesses physical and mental benefits to humans. However, despite of the great positive impacts of care farming such problems have been happening regarding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such care. In addition to that, there have been problems in not only general maintenance, but also management. This calls for sustainable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present implications for employees' perceptions for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a long-term perspective in order to continuously harness the positiveness of healing agriculture.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targeting to employees in elderly welfare facility were analyzed by Textom software where text mining analysis was employed with furthe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N-gram analysis, TF-IDF analysis, connection centrality analysis, and matrix analysis. The study results show interesting findings: first, forming active stakeholder involvement-based partnership, second pursuing governance-based community revitalization, third framing income generation through securing professional manpower for long-term management of healing agriculture. Accordingly, it draws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an integrated plan that matches governance-type maintenance, public·private-involved partnership, policy-led governance, partnership, and income generation. Perhaps the ideal concluding remark is that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a long-term perspective is required to long maintain the positiveness of healing agriculture in elderly leisure welfare facilities which also requires governance, partnerships, and the necessity of income generation as well as policy-centred coordination with the overarching dimensions. The delivery and implementation of these implications are the basis for expanding the positivity of care farming in the future. It will ultimately, contribute positively to human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rough vitalizing activities and managing the sustainability of care farm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