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피지배계급의 집단적 목소리의 흔적을 찾아서 - 조선후기 한문 문헌을 중심으로 - (In Search of the Traces of the Collective Voices of the Ruled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Document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of the late Joseon Dynasty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2.12
42P 미리보기
조선후기 피지배계급의 집단적 목소리의 흔적을 찾아서 - 조선후기 한문 문헌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45권 / 1호 / 77 ~ 118페이지
    · 저자명 : 김대중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 한문 문헌을 토대로 조선조 피지배계급의 비공식적 여론 형성 및 유포에 대해 고찰한다. 조선조 지배계급은 정치 사회 문제에 대한 자신의 집단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문화 자본을 갖고 있었던 반면 피지배계급에게는 그런 것이 결여되었다. 하지만 조선조 피지배계급은 정치 사회 문제에 대한 자신의 집단적 의견을 형성하고 유포하는 비제도적 방법을 강구하는 행위주체성을 발휘했다.
    조선조 피지배계급의 여론 형성 및 유포의 비공식적 방법은 언어적 차원과 비언어적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비언어적 차원은 ‘농사 거부’ 내지 ‘농작물 뽑아버리기’ 같이 관아의 수탈에 대한 저항의식을 직접 행동으로 보여준 것이다. 언어적 차원의 사례로는 ‘소문내기’, ‘善政碑 역이용하기’, ‘별명 붙이기’, ‘비꼬아 부르기’ 등이 있다. 이는 지배 관계에 속박된 예속민이 지배질서에 대한 저항의식을 공개적으로 밝히지 못하는 대신 비공식적으로 드러내거나, 공식적인 수단을 역으로 전유한 것이다.
    그 밖에도 조선조 피지배계급의 집단적 목소리를 간단명료한 문장으로 압축한 것으로 ‘속담’을 들 수 있다. 본고는 조선조 피지배계급의 저항의식을 담고 있는 속담이 실학 담론에 이입된 사례에 특히 주목하여, 속담에 남겨진 조선조 피지배계급의 저항의식을 분석하는 동시에 정약용 같은 실학자가 백성의 집단적 목소리에 공명하여 어떤 정치론을 개진했는지를 탐구한다. 정약용 같은 사례를 통해, 조선 사회에서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은 ‘지배/피지배’라는 이분법적 관계에 놓이면서도 꼭 그렇게 단순화할 수 없는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Based on the documen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public opinion among the ruled class of the Joseon Dynasty. The ruling class of the Joseon Dynasty had institutional mechanisms and cultural capital to publicize their collective voices o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while the ruled class lacked such a thing. However, the ruled class of the Joseon Dynasty demonstrated the agency by devising an uninstitutional method of forming and distributing their collective opinions o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The informal method of forming and distributing public opinion of the ruled class of the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a linguistic dimension and a non-verbal dimension. The non-verbal dimension shows the resistant consciousness to exploitation of government offices, such as "refusal to farm" or "pulling out crops," through direct action. Examples of the linguistic dimension include "spreading rumors," "the reverse use of the tombstone," "nicknaming" and "calling sarcastically." This is an informal expression of resistance to the ruling order, instead of being unable to publicly express the resistant consciousness to the ruling order.
    In addition, the proverb is noteworthy because it compresses the collective voice of the ruled class of the Joseon Dynasty into simple and clear sentences. This paper focuses on the case where the proverb, which contains the resistant consciousness of the Joseon Dynasty's ruled class, is reflected in the Silhak discourse, and analyzes the resistant consciousness of the Joseon Dynasty's ruled class, while exploring what political thinking such as Jeong Yak-yong expressed in response to the collective voice of the people. Through the case of Jeong Yak-yong, it is confirmed that in Joseon society, the ruling class and the ruled class had a complex interaction that was not necessarily simplified even though they were in a dichotomous relationship of 'dominance/subordin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