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각적 피드백 균형 훈련이 안정화 소요시간 및 발목의 운동역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sual Biofeedback Balance Training on Time to Stabilization and Kinetic Variables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2.09
10P 미리보기
시각적 피드백 균형 훈련이 안정화 소요시간 및 발목의 운동역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과학원
    · 수록지 정보 : 체육과학연구 / 33권 / 3호 / 359 ~ 368페이지
    · 저자명 : 김성민, 문제헌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점프 후 착지 시 동적 자세 안정화 및운동학적 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B 지역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 운동선수(육상, 축구, 배구, 핸드볼)를 대상으로 만성 발목불안정 환자군 3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age: 22.6±1.12years, height: 175±3.54cm, weight: 65.5± 5.11kg). 만성 발목 불안정 환자군을 선별하기 위해 CAIT(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설문지와 균형 오차 점수 평가(balance error scoring system: BESS)를 사용하였고 무작위로 19명씩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 집단과 Y-balance 집단으로 배정하였다. 훈련은 총 4주간 진행하였고, 훈련 전후 점프 후 착지 동작을 통해 안정화 소요시간, 신체중심, 압력중심, 지면반력, 그리고 하지관절의 운동역학적 변인을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p <.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안정화 소요시간의 AP, ML 방향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AP: F =6.599, p =.013; ML: F =4.991, p =.029). 사후검사 결과 TG의 AP, ML방향은 CG 보다 감소하였다(AP: t =-5.790, p =.000; ML: t =-2.084, p =.046) (Table 3). 집단 내 분석으로 TG의 훈련 후 ML 방향은 훈련 전 측정 보다 감소하였고(t =2.285, p =.041), 훈련 후 CG 의 AP방향은 훈련 전보다 증가하였다(t =-2.961, p =.012). 발목관절의 배측굴곡과 저측굴곡 모멘트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DF: F =4.117, p =.047; PF: F =8.977, p =.004). 사후분석 결과 훈련 후 TG는 훈련 전 보다 배측굴곡, 저측굴곡 모멘트 모두 감소하였고(DF: t =2.555, p =.040, PF: t =-2.787, p =.032), 훈련 후 CG의 배측굴곡 모멘트는훈련 전 보다 증가하였다(t =2.084, p =.046).
    [결론]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수행한 연구참여자들은 발목관절의 움직임을 통해 착지 후 신체를 빠르게 안정시켰고 발목이 불안정한 환자에게 효과적인 훈련방법으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 균형 훈련 방법이 추천된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ynamic posture stabilization and kinematic variables between visual feedback and Y-balance training groups during jump-landing. METHODS Thirty-eight male players (age: 22.6 ± 1.12 years, height: 175 ± 3.54 cm, weight: 65.5 ± 5.11 k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chronic ankle instability was checked using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 and Balance Error Scoring System (BES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Visual biofeedback (Training group: TG, n = 19) and Y-balance groups (Control group: CG, n = 19) for four weeks. TG performed balance training using the Biodex balance system (BBS) and CG performed training using the Y-balance system. During jump landing, time to stabilization (TTS), force plate (COP, GRF); joint angle and momen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l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 21.0, and Bonferroni was used for repeated measured ANOVA and post-hoc.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TG and CG in terms of AP and ML directions of TTS (p < 0.05). AP/ML TTS of the TG for the post-test was smaller than that for CG (AP: p = 0.000; ML: p = 0.046). ML TTS of the TG for post-test was smaller than at pre-test (p = 0.041), and AP TTS of the CG for ankle joint moment (p < 0.05).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TG and CG in terms of dorsiflexion (DF) and plantarflexion (PF) of joint moment (p < 0.05). Ankle moment of the CG for post-test decreased than at pre-test (DF: p = 0.040, PF: p = 0.032), and ankle dorsiflexion moment of the CG for post-test was decreased than at pre-test (p = 0.046). CONCLUSIONS Balance ability was achieved more effectively through visual biofeedback training than Y-balance training. Therefore, we recommend balanced training with visual feedback on chronic ankle inst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체육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