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불전의 귀공포 장엄에 대한 연구 - 전등사 대웅전 목조인물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rnamentation of Guigongpo in Late Joseon Buddhist Halls - Focusing on the Wooden Figures of Daeungjeon Hall at Jeondeungsa Temple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4.06
24P 미리보기
조선후기 불전의 귀공포 장엄에 대한 연구 - 전등사 대웅전 목조인물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62호 / 281 ~ 304페이지
    · 저자명 : 손신영

    초록

    조선후기 불전의 귀공포는 대체로 용두로 장엄되어 있는데, 17세기에 조성된 전등사 대웅전 귀공포는 도상을 특정하기 어려운 형태의 조각으로 장엄되어 있어 매우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전등사대웅전 귀공포 조각의 정체성을 밝혀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중국 北宋代 건축기술서인 『營造法式』과 현존하는 중국의 고건축을 간략히 살펴, 귀공포 장엄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營造法式』 大木作制度의 角昻 조에 ‘由昻 위에 올려져 추녀를 받치는 부재인 角神’이 언급되어 있어, 角神이 귀공포 장엄의 원류라는 것을 확인했다. 각신은 寶藏神과 寶甁이라는 두가지 형식으로 대표되는데, 전등사 대웅전은 보장신 계통임을 알 수 있다. 『營造法式』에서 寶藏神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확인되지 않고, 중국의 고건축에 인왕상, 무장상 등으로 조형화된 것을 보면, 보장신의 도상이 확립되지 않았음을 유추할 수 있다. 보장신이 언급된 『佛說寶藏神大明曼拏羅儀軌經』과 같은 불교경전에 야차대왕이라 언급된 바를 통해 보장신이 夜叉로 인식된 바를 알 수 있다. 아울러 인도 베다문헌에서 야차가 특별한 힘을 지닌 존재로 설명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귀공포에서 추녀를 받치는 각신으로서, 보장신의 정체는 ‘야차’라 할 수 있다.
    한편, 조선후기 불전 귀공포에 용두가 장엄된 것도 영조법식의 殿階螭首 내용이 투영된 것으로 추론해보았다. 월대의 난간 아랫부분이고 석조라는 점에서 차이는 있지만 결구되는 대상에 비스듬히 꽂혀 장엄하는 바가 유사하기 때문이다.
    불전의 귀공포 장엄으로서 용두가 일반화된 것은, 용이 야차보다 친숙하고, 불교는 물론 민속과 벽사 의미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다재다능한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론해보았다.

    영어초록

    The Gwigongpo of Buddhist templ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re generally decorated with dragon heads, but the Gwigongpo of Daeungjeon Hall of Jeondeungsa Temple, built in the 17th century, is very different as it is decorated with carvings whose iconography is difficult to pinpoint.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article attempted to reveal the identity of the Guigongpo sculpture in the Buddhist temple. For this purpose, we briefly researched ‘Yingzao Fashi 『營造法式』’, an architectural description book from the Northern Song Dynasty in China, and existing ancient Chinese architecture, and examined the aspects and meaning of Guigongpo.
    The term ‘gakshin(角神)’ mentioned in the section on ‘gakang(角昻)’ in the ‘Yingzao Fashi ’ refers to the element that is placed on top of ‘昻 (ang)’ to support the eaves, indicating that ‘gakshin’ is the origin of decorative corner brackets. ‘gakshin’ is represented in two forms: ‘bojangshin(寶藏神)’ and ‘bopyeong(寶甁).’ The Daeungjeon Hall of Jeondeungsa Temple is an example of the ‘bojangshin’ style.” In the ‘Yingzao Fashi,’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of ‘Baozangshen,’ and based on the representation of figures like guardian kings or warriors in ancient Chinese architectu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iconography of ‘Baozangshen’ was not firmly established. However, through references in Buddhist texts such as the ‘Sutra on the Great Light Mandala of Baozangshen’(『佛說寶藏神大明曼拏羅儀軌經』), where ‘Baozangshen’ is mentioned as a Yacha King, we can understand that ‘Baozangshen’ is recognized a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a Yacha.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in Indian Vedic literature, Yachas are described as entities possessing special powers,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Baozangshen,’ as the entity supporting the eaves in the form of a corner bracket, is essentially a ‘Yacha’.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mbellishment of dragon heads on the corner brackets of Buddhist temples in the late Joseon period is related to the depiction of ‘chi shou(螭首)’ in the ‘Yingzao Fashi.’ Although the dragon heads on the corner brackets of temples and ‘chi shou’ on the stone foundations of palace structures are different in terms of material and location, they share a common characteristic: being slanted and decorative in their application.
    The use of dragon heads as embellishments on corner brackets in temples became more common, likely because the dragon symbol is more familiar than the Yacha and can be applied to Buddhist contexts as well as in folk traditions and warding off evil. This versatility contributed to its widespread adoption as a decorative element in temples and other architectural fea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