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기영과 메도루마 슌(目取真俊)의 소설에 나타난 무교(巫敎)의 증언적 기능과 의미: 현기영의 「목마른 신들」과 메도루마 슌의 「혼 불어넣기(魂込め(まぶいぐみ))」를 중심으로 (A testimony function and meaning of Shamanism in the fictions of Hyun Ki-young and Medoruma Shun: Focusing on Hyun Ki-young's "Thirsty Gods" and Medoruma Shun's “Mabuigumi”)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1.12
40P 미리보기
현기영과 메도루마 슌(目取真俊)의 소설에 나타난 무교(巫敎)의 증언적 기능과 의미: 현기영의 「목마른 신들」과 메도루마 슌의 「혼 불어넣기(魂込め(まぶいぐみ))」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88권 / 361 ~ 400페이지
    · 저자명 : 이명원

    초록

    본고는 제주 4.3을 문학의 중심주제로 탐구한 현기영과 오키나와 전투를 핵심적 문제의식으로 탐구해 온 오키나와의 소설가 메도루마 슌의 작품을 비교문학적으로 검토한다. 검토할 작품은 현기영의 「목마른 신들」과 메도루마 슌의「혼 불어넣기」이다.
    이 작품들은 두 지역의 토착신앙인 무교(巫敎)를 통해서 제주4.3과 오키나와전 과정에서의 주민학살이라는 역사적 비극에 대한 증언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현기영과 메도루마 슌의 소설에서 무교는 현대사의 비극을 ‘증언’하는 역사적 담론으로 기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소설의 주인공인 제주의 심방과 오키나와 유타가 어떻게 현대사의 비극을 회고와 동시에 증언하고, 이것이 소설 안에서 어떤 기능과 의미를 낳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을 통해서 필자가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기영과 메도루마 슌의 소설에서는 무교적 모티프가 역사적 상상력과 결합해, ‘무교적 리얼리즘’이라는 독특한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그러나 소설에서 보여주는 공동체의 정념은 다르다. 현기영은 제주공동체의 무서운 신명을 보여준다. 반면 메도루마 슌은 오키나와 공동체와의 무서운 불화를 보여준다. 셋째, 현기영과 메도루마 슌 소설에서의 무교 모티프는 토착적 문화전통과 식민주의와 제국주의를 동반한 국가폭력 사이의 문화충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문학적 장치로 기능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필자는 제주와 오키나와 문학의 정치성과 정체성에 대한 더욱 심화된 논의가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s the works of Hyun Ki-young, who explored Jeju 4.3 as the central theme of literature, and Okinawa novelist Medoruma Shun, who has explored the battle of Okinawa as a core problem consciousness. The works to be reviewed are Hyun Ki-young's “Thirsty Gods(목마른 신들)” and Medoruma Shun’s “Mabuigumi(魂込め)”.
    These works show the aspect of testimony to the historical tragedy of the massacre of residents in Jeju 4.3 and Battle of Okinawa through Shamanism(무교, 巫敎), an indigenous belief in the two regions. In the fictions of Hyun Ki-young and Medoruma Shun, shamanism functions as a historical discourse that testifies to the tragedy of modern history. In this paper, the main characters of the fiction, Jeju Shaman(SIMBANG) and Okinawa Shaman(YUTA), testified of the tragedy of modern history at the same time as retrospections, and tried to analyze what functions and meanings it has in the novel.
    The conclusions I drew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ction of Hyun Ki-young and Medoruma Shun, the shamanic motif combines with historical imagination to show a unique literary trend called "Shamanistic Realism." Second, however, the passion of the community shown in the fiction is different. Hyun Ki-young shows a ‘terrible orgiastic-state’(state at the time of get in high spirit) of the Jeju community. On the other hand, Medoruma Shun shows a ‘terrible disharmony’ with the Okinawa community. Third, Shamanism Motif in the fictions of Hyun Ki-young and Medoruma Shun functions as a literary device that symbolizes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indigenous cultural traditions and national violence accompanied by colonialism and imperialism.
    Through this analysis, I hope that more in-depth discussions on the politics and identity of Jeju and Okinawa literature can proce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