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조선을 재현하는 어느 서양인 여성의 시선― 『호박목걸이』론 (A Study on a Western Woman's View representing Colonial Chosun: Centered on the Theory of 『Chain of Amber』)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0.09
25P 미리보기
식민지 조선을 재현하는 어느 서양인 여성의 시선― 『호박목걸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77호 / 177 ~ 201페이지
    · 저자명 : 양진오

    초록

    식민지 조선은 해석이 완료된 추상 세계가 아니다. 식민지 조선은 특정 개념으로 재단되는 추상 세계가 아니라 창의적인 개념으로 끊임없이 해석되어야 하는 구체 세계이다. 이 글은 식민지 조선을 다양한 방식으로 살아간 사람들의 지역, 장소, 스토리 개념에 연계한 해석이 한국 근대문학 연구에 생산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전제에 기반하여 기획되었다. 이 글의 연구대상은 서울시 행촌동에 소재한 딜쿠샤의 주인인 대영제국 출신 여성 메리 린리 테일러의 수기 『호박목걸이』이다. 어린 시절부터 동양에 매혹되었던 메리는 대영제국 경계 밖에서의 삶을 희망한다. 그 희망은 메리가 영국의 동양 식민지를 순회하는 연극배우로 활동하며 점차 실현된다. 그리고 메리의 이 희망은 식민지 조선에서 금광을 경영하는 부르스의 청혼을 받아들이며 차원을 달리하게 된다.
    이에 이 글은 메리가 일본인 식민자, 조선인 피식민자와는 다른 방식으로 식민지 조선을 재현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특히 이 글은 장소 개념에 연계하여 메리가 식민지 조선에서 어떻게 자신을 환대하는 친화적 장소를 발견하게 되는지 또한 이 장소를 어떻게 잃게 되는지를 논의하고 있다. 이 글의 논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메리의 장소성취이며 다른 또 하나는 메리의 장소상실이다. 장소성취의 논점에서 주요하게 다룬 논의는 메리가 어떤 방식과 태도로 식민지 조선에서 친화적 장소를 경험하게 되는가이다. 반면에 장소상실의 논점에서 주요하게 다룬 논의는 메리가 어떤 경위로 식민지 조선에서 친화적 장소로부터 추방되는가이다. 이 글은 이 두 가지 논점을 논의하며 어느 서양인 여성이 재현하는 식민지 조선을 논의하고 있다.

    영어초록

    Colonial Chosun is not an abstract world where interpretation has been completed. Colonial Chosun is not an abstract world that is judged by a particular concept, but a concrete world that must be constantly interpreted. This study was designed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interpretation linking colonial Chosun to the regional, place and story concept of the people who lived in various ways could bring productive results to the stud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research object of the study is a memoir 『Chain of Amber』 by Mary Linley Taylor, a British woman from the British Empire who is the hostess of Dilkusha, located in Haengchon-dong in Seoul Metropolitan City. Mary, who has been fascinated by the East since childhood, hopes to live outside the British Empire. The hope becomes possible as Mary acts as a theater actress touring the British colonies in the East. And Mary's hopes come to a different level, accepting the proposal of Bruce, who runs a gold mine in the colonial Chosun.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s the discussion, noting that Mary reproduces the colonial Chosun in a different way than the Japanese settlers and the colonized Chosun people. In particular, this study discusses how Mary finds a place to welcome herself in colonial Chosun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place, and also how she loses such place. There are two main points on this study. One is Mary's placeness like place achievement and the other is Mary's placelessness. The main points on the issue of placeness is how Mary experiences her place in colonial Chosun in some way or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 main points on the issue of placelessness is how Mary is expelled from her place in colonial Chosun in what circumstances. This study discusses these two main points and discusses colonial Chosun reproduced by a Western wo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