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문화정치 초엽 『百牧講演』(1921)에 나타난 ‘민족애’ 담론 분석 (An Analysis of Discourse on ‘Patriotism’ in Sermons by One Hundred Pastors & Teachers(1921) in the Early Years of Japanese Cultural Polic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25.02
28P 미리보기
일제 문화정치 초엽 『百牧講演』(1921)에 나타난 ‘민족애’ 담론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93호 / 931 ~ 958페이지
    · 저자명 : 안수강

    초록

    『百牧講演』은 일제가 문화정치를 시행하던 초기 무렵인 1921년도에 출간된 한국 최초의 설교문집이다. 이 설교문집은 식민 이데올로기로서의 일제 문화정치라는 역사적 정황에서 출판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문헌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설교문집에 수록된 설교들 가운데 신준려(申俊勵)의 “自省을 促”, 김활란(金活蘭)의 “두려워지 마라”, 한석원(韓錫源)의 “眞情의 淚”, 김영제(金永濟)의 “人生은 行旅라” 등을 중심으로 초창기 한국 기독교 지도자들이 논한 민족애 담론에 대해 분석했다. 이 4편의 설교문에는 한국 기독교인들의 신앙정체성을 바탕으로 민족애를 고취하기 위한 의미심장한 담론이 기술되어 있다. 신준려, 김활란, 한석원, 김영제 등 4명의 설교자들은 민족애와 신앙정체성을 한 지평 위에서 불가분리의 유기적 관계로 설정했다. 이 4편의 설교문에 나타난 민족애 담론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논제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준려의 “自省을 促”에 나타난 민족애 담론에서는 우리 민족 존중심과 한국 기독교인의 자결권(自決權) 등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했다. 둘째, 김활란의 “두려워지 마라”에 나타난 민족애 담론에서는 하나님 의존적 신앙과 민족복음화를 추구하기 위한 여섯 종목의 기도 제목 등에 나타난 논점들을 다루었다. 셋째, 한석원의 “眞情의 淚”에 나타난 민족애 담론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삼중적 눈물에 함축된 복음적인 의미와 가치, 민족복음화의 염원 등에 나타난 논의들을 중점적으로 숙고했다. 넷째, 김영제의 “人生은 行旅라”에 나타난 민족애 담론에서는 죄악의 삶을 성찰할 것과 ‘장망성(將亡城)→회개의 문→성산(聖山)’ 양상의 서정적(序程的) 구도 등에 관한 논지들을 제시했다. 다섯째, 이 논문에서 살펴본 핵심적인 논지들을 바탕으로 현하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민족애를 실천할 수 있는 현실성 있는 과업들을 제시했으며, 철저한 종말론적 신앙교육을 제언했다. 『百牧講演』에 진술된 의미 있는 주제들을 고려하여 향후 이 문헌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주제들로 외연(外延)하여 민족복음화, 투철한 신앙심, 지혜와 지식, 영적 전투, 신앙훈련, 경건과 성화, 감사와 찬송, 기도, 순교적 헌신, 이타주의, 기독교교육 실천, 기독교 사회윤리 등 여러 방면의 연구로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Sermons by One Hundred Pastors & Teachers is the first sermon collection of Korea published during the early era of Japanese Cultural Policy in 1921.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literature was published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Japanese cultural politics as an colonial ideolog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scourse on patriotism of early Korean Christian leaders, focusing on Jun-Ryeo Shin’s “Call for Self-Examination”, Hwal-Lan Kim’s “Don't Be Afraid”, Seok-Won Han’s “True Tears”, and Yeong-Je Kim’s “The Life of a Traveler”. The significant discourse that promote patriotism based on the faith identity of Korean Christians are in these four sermons. These four preachers, Jun-Ryeo Shin, Hwal-Lan Kim, Seok-Won Han, Yeong-Je Kim illuminated patriotism and faith identity as an inseparable organic relationship on one horizon. The considerable points of the discourse on patriotism in these four sermon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uthor concentrates on Jun-Ryeo Shin’s discourse on patriotism in “Call for Self-Examination”, focusing on heart of respect for the Korean people, Korean Christian’s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so on. Secondly, the author deals with Hwal-Lan Kim’s discourse on patriotism in “Don't Be Afraid”, focusing on faith that relies on God, the six prayer titles for the evangelization of the nation, and so on. Thirdly, the author analyzes Seok-Won Han’s discourse on patriotism in “True Tears”, focusing on the evangelical meaning and value implied in Jesus Christ’s triple tears, the aspiration of national evangelization, and so forth. Fourthly, the author concentrates on Yeong-Je Kim’s “The Life of a Traveler”, focusing on reflecting on the life of sin, sequential schematic diagram of ‘world to be destroyed→repentance→heavenly city’, and so forth. Fifthly, on the basis of the core points of this study the author proposed the realistic tasks to practice patriotism, the thorough education of eschatological faith to today’s Korean Christians. Considering the meaningful topics stated in Sermons by One Hundred Pastors & Teachers, the author suggests future extensions of this research into other various themes such as national evangelization, strong faith, wisdom and knowledge, spiritual battle, faith training, piety and sanctification, appreciation and hymn, prayer, martyrdom devotion, altruism, Christian education practices, Christian social ethics, and other related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