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윤석의 <목주잡가>에 나타난 시(詩) 지향성의 시조사적 조명 - 18세기 시조의 시(詩) 지향성 발견을 중심으로 - (Poetry Directivity of Hwang Yunseok’s Sijo, - focus on the significance of 18th century sijo’s poetry directivity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4.08
32P 미리보기
황윤석의 &lt;목주잡가&gt;에 나타난 시(詩) 지향성의 시조사적 조명 - 18세기 시조의 시(詩) 지향성 발견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과 교육 / 28호 / 127 ~ 158페이지
    · 저자명 : 정소연

    초록

    이 연구는 본고는 황윤석(1729-1791)의 시조 <木州雜歌二十八首>를 대상으로 18세기 시조가 시조사적으로 가지는 변화적 특징에 포착해 황윤석의 시조가 가지는 18세기적, 나아가 시가사적(詩歌史的) 전개를 해명하는 데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창작 상황면에서, 3장에서는 구성면에서, 4장에서는 내용면에서 접근해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창작 상황에 있어서 지방 은거나 유배기에 주로 지어진 시조 작시 경향과 달리 황윤석은 자기 생애의 가장 높은 관직 시절에 현감으로서의 책임감을 다짐하는 시조를 짓는 변화를 보인다. 둘째, 세계관을 직접 표출하는 통로로서 시조를 지으면서 구성면에 있어서는 ‘木州雜歌二十八首’로 묶어둔 일련의 작품의 연작적 유기성이 약하다. 셋째, 내용면에 있어서 자연을 다루지 않고 사람을 주요 제재로 삼아 다루었다. 특히 임금에 대한 왕(王), 군(君)의 직접적 표현과 화자 자신의 신(臣)이라는 단어 사용, 작가의 가족과 친지 관계의 구체적인 정보와 사실의 표현 등 작가와 화자가 거의 일치되고 생활밀착적인 생활시로서의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한시의 특징, 더 구체적으로는 읽는 시의 특징이기도 한데, 당시의 시(詩)란 한시였던 양층언어작가에게 시조가 시로서의 위상을 성취해가는 과정으로서 시조가 더 이상 고급문학이 아닌 노래가 아니라 읽는 시(詩)로서의 지향을 보이는 갈래로 인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목주잡가>는 18세기 사대부 시조의 변모를 통해 근대로 가는 길목의 시가사적 전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18th century poetic historical significance through Hwang Yunseok’s sijo <Mok-Ju-Jab-Ga(木州雜歌)>. First, Hwang Yunseok created this works when he is the best political position in his life, though other sijo writers had created when they are in local province or in exile. Second, the sequence structure of <Mok-Ju-Jab-Ga(木州雜歌)> is not organically, it is a kind of deviation from other historical sijo’s creative custom. And it is also a new trend to express directly writer’s view of the world by sijo. Third, the content of <Mok-Ju-Jab-Ga(木州雜歌)> did not deal with nature and dealt with human. In particular, Hwang Yunseok directly expressed the king and writer’s real family concretely. From this expression of specific information and the fact of writer, we can know that the distance of writer and poetic speaker is very close and this is almost similar like hansi. Namely, Hwang Yunseok, as a diglossic poet, sought a poetry directivity. So, by Hwang YunSeok, we can find the process from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to Modern Korean poetry in the period of Modern transitional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과 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