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룡사 목탑지 방형대석 검토 (Review of the square footstone of the wooden pagoda site in Hwangnyongsa Temple)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5.10
8P 미리보기
황룡사 목탑지 방형대석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4권 / 5호 / 33 ~ 40페이지
    · 저자명 : 김동열, 천득염

    초록

    본 논문은 황룡사 목탑지 중앙에 위한 방형대석에 대하여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치시점 및 용도의 재검토하였다.
    방형대석에 대해서 기존 선행연구는 창건당시 찰주를 받치는 용도로 설치되었다는 주장과 몽고전란으로 목탑이 전소된 후 심초석 내부에 있는 사리장엄을 보고하기 위해 설치되었다는 주장으로 나뉘었다. 위 선행연구에 제시된 근거자료를 정리하면, 가섭불연좌석과 관계성, 방형대석 출현시점, 재건수준의 수리공사 유무, 보편적인 사리장엄구 추가봉안, 유사사례 유무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 선행연구의 주요 근거자료를 바탕으로 재검토 하였다. 먼저 가섭불연좌석과의 관계성은 방형대석과 가섭불연좌석은 문헌기록에 보이는 시점, 상태, 형태 등을 보았을 때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오히려 가섭불연좌석은 석당(石幢)과 같은 형태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방형대석의 설치시점은 광종4년 화재로 목탑이 소실된 후 현종 13년 수리가 완료되기까지 68년간의 방치된 시기가 보인다는 점에서 방형대석의 설치시점은 광종4년 이후로 보이며, 재건수준의 수리공사는 경문왕과 현종 최소 2번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보편적인 사리장엄구는 창건, 경문왕때 수리 등으로 볼 때 당대에는 지금과 같이 수리공사가 진행되면 사리장엄 추가봉안을 하는 것이 보편적인 특징으로 보기 어려움으로 경문왕 이후 사리장엄 추가봉안이 없었다고 해서 재건수준의 수리공사가 없었다고 단정하기는 모순이 있다. 마지막으로 황룡사 목탑 방형대석과 유사한 사례로는 일본 약사사 동탑의 예가 있다. 결론적으로 방형대석은 광종4년 화재로 목탑이 소실되어 사시장엄구를 보호하는 진호석으로 사용되어지다가 현종 이후 찰주받침석으로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현재의 방형대석은 몽고전란 이후 새로이 놓인 것이라는 견해는 재고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reconsider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the purpose of the square footston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ooden pagoda in Hwangnyongsa Temple, based on related precedent studies. Precedent studies are divided into two streams of assertions: one is that the square footstone was to support the major pillars at the time of building and the other is that it was installed to store Buddhist reliquaries inside the central foundation stone after the wood pagoda burnt down in the Invasion of Mongol. Summarizing the grounds with which the precedent studies support their assertions, they are the relation with Gaseopbul Yeonjwaseok, the emerging time of the square footstone, repairing work at the level of reconstruction, additional enshrinement of general Buddhist reliquaries and so on.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key grounds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square footstone. First, it was determined that the square footstone has nothing to do with Gaseopbul Yeonjwaseok, after looking into the timings of appearance, condition and shape in literatures. Rather, it was assumed that Gaseopbul Yeonjwaseok resembles a stone column. Next, the square footstone is assumed to be installed after the 4th year of King Kwangjong’s rule because the wood pagoda was lost in fire in the 4th year of Kwangjong’s rule and it had been left alone for 68 years until the repair work finished in the 13th year of King Hyunjong. It is assumed that repair works at the level of reconstruction had been twice in total, say, once during King Kyungmun and Hyunjong, respectively. Next, looking into the establishment of the general Buddhist reliquaries and the repair work during King Kyungmun, it was not common then to enshrine additional Buddhist reliquaries when repair work progressed and so there was not an additional enshrinement of Buddhist reliquaries after King Kyungmun. However, it is hard to decide that there was no repair work at the level of reconstruction at that time. Last, we can find a similar case to the square footstone of the wood pagoda in Hwangnyongsa Temple in the copper pagoda in Japanese Yaksasa Temple. In conclusion, it is assumed that the wooden pagoda in Hwangnyongsa Temple was lost to the fire in the 4th year of King Kwangjong’s rule and thus the square footstone had been used as Jinho stone to protect Buddhist reliquaries and used as a propping stone for the major pillars after King Hyungj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