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秉善의 『金石目攷覽』 고찰 (A Study on Geumseok mokgoram(金石目攷覽) by Kim Byeongseon(金秉善) in the Joseon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1 최종저작일 2016.09
28P 미리보기
金秉善의 『金石目攷覽』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48권 / 48호 / 127 ~ 154페이지
    · 저자명 : 박현규

    초록

    본 논문은 19세기 국내외 해동금석집의 말미를 장식한 조선 金秉善의 『金石目攷覽』의 제반 사항에 대해 분석한 문장이다.
    19세기에 들어와서 조선과 청조학자들은 해동금석문 연구에 굉장한 열정을 내뿜었다. 1873년(고종 12)에 김병선은 吳慶錫으로부터 해동 금석물목을 편찬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초편본 『金石總目便覽』을 편찬했다. 전 3권, 기자조선부터 조선조까지의 금석문 3백 종을 수록했다. 1875년(고종 14)에 포강간본 유희해의 『해동금석원』을 비롯한 여러 신자료를 얻은 뒤에 다시 수정 보완하여 재편본 『금석목고람』을 편찬했다. 전 2권, 고조선부터 고려조까지의 금석문 191종을 수록했다.
    현재 일본 天理大學藏本은 1875년(고종 12)에 초편본 『金石總目便覽』을 저본으로 삼아 수정 보완 작업을 가한 친필 고본이다. 중국 北京大學藏本은 청 광서연간에 필사된 재편본으로 龍繼棟 인장이 찍혀 있다. 한국 국립중앙도서관장본은 1926년에 청 광서연간 龍繼棟題簽本을 보고 필사한 본이다. 『금석목고람』은 일찍이 중국대륙으로 들어가 중국학자로부터 주밀한 해동 금석집이라는 논평을 받았고, 일제강점기 때 해동 금석문의 실물을 조사하는 데에 중요한 금석집으로 활용되었다.

    영어초록

    I in this paper analyzed all the matters of Byeong Seon's Geumseok mokgoram which was splashed across the end pages of domestic and foreign collections of epigraphs in Korea in the 19th century.
    Joseon and Qing scholars in the 19th century showed tremendous passions for study on the collections of epigraphs in Korea. Kim Byeongseon compiled the first edition of Geumseok chongmok pyeonram(金石總目便覽) in 1873(the 10th year of Gojong's reign) on request of O Gyeongseok(吳慶錫) who asked Kim to compile a catalog of epigraphs in Korea. The book in three volumnes contains 300 kinds of epigraphs extending from Gija Joseon to the Joseon dynasty. In 1875(the 14th year of Gojong's reign), Kim Byeongseon compiled the second edition of Geumseok mokgoram in which Kim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first edition after he obtained several new materials including the Pogang edition of Haidong jinshiyuan(海東金石苑) by Liu Xihaie. The book in two volumnes contains 191 kinds of epigraphs extending from Gojoseon to Goryeo dynasty.
    The edition housed in the Tenri University(天理大學) in Japan is an original manuscript in which Kim Byeongseon modified and supplemened the first edition of Geumseok chongmok pyeonram in 1875(the 12th year of Gojong's reign). The edition housed in Beijing University(北京大學) is the second edition which was transcribed by hand in the Guangxi's reign period of Qing dynasty and stamped a seal with characters of ‘Longjidong(龍繼棟)’. The edition house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國立中央圖書館) is a manuscript that transcribed by hand in 1926 the edition of Guangxi's reign with a seal of ‘Longjidong’. Geumseok mokgoram which was entered early into China was reviewd by Chinese scholars as a scrupulous collection of epigraphs in Korea and was utilized as an important collection of epigraphs in investigating real epigraphs in Korea in Japanese colonial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후